CXL에 대해 알아본 후 CXL 관련주에는 어떤 주식들이 있는지 정리해보겠습니다.
차세대 데이터센터와 인공지능 시대를 대비하는 핵심 기술로 CXL(Compute Express Link)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CXL은 CPU, GPU, 메모리, 가속기 등 다양한 컴퓨팅 자원 간 데이터를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게 해주는 고속 인터커넥트 기술입니다.
기존의 PCIe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하면서도, 저지연•고대역폭 연결과 메모리 공유 기능을 제공해 시스템 성능과 자원 활용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AI, 빅데이터, 고성능 컴퓨팅 환경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병목 문제를 해결하는 데 효과적인 솔루션입니다.
최근 주요 반도체 및 메모리 기업들이 CXL 기반 제품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어, 본격적인 상용화가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CXL 관련주에는 티엘비(356860), 마이크로컨텍솔(098120), 심텍(222800), 오킨스전자(080580), 대덕전자(353200), 제이티(089790), 코리아써키트(007810), 엑시콘(092870) 등이 있습니다.
지금부터 아래에서 상승 확률이 높은 CXL 관련주의 주식 정보를 무료로 확인하세요!
오늘 최고 조회수 주식정보 글입니다.
확인하셔서 수익을 극대화하세요!
급등하는 주식을 무작정 매수하기보다, 관련 이유를 정확히 알고 어떤 기업인지를 미리 파악한 후에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한 투자의 자세입니다.
지금부터 높은 수익률을 위하여 아래의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티엘비 (CXL 관련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차세대 메모리(반도체)인 CXL 개발에 참여, 2024년 하반기 양산에 대응한 준비 중
DDR5 전환 과정에서 R-DIMM 채택 확대, 차세대 메모리인 CXL, 저전력반도체 수요 증가가 예상

티엘비 기업 프로필 정리
- 인쇄회로기판(PCB)의 제조 및 유통업을 주력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반도체 부문에 특화된 PCB 생산업체로서 메모리 모듈, 사물인터넷(IoT),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등을 포함한 강점을 보임.
- 2011년에 설립된 PCB 제조 기업으로, 주요 제품으로는 Memory Module용 PCB와 SSD용 PCB가 있으며, 2020년부터는 반도체 후공정 검사장비용 PCB 사업에도 진출하였음.
- 동사의 매출은 인쇄회로기판 부분에서 100% 발생하며, 주요 고객사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 국내외 반도체 업체들임.
- 한편, 동종업체인 한진솔루션과 베트남 법인(TLB VINA)을 종속기업으로 보유하고 있음.
티엘비 제품별 매출 비중
매출 구분 | 비중(%) |
---|---|
인쇄회로기판 | 100.00 |
티엘비 분기 실적을 확인하세요.
- 주요 고객사들의 낸드 재고조정 및 HBM 집중에 따른 PCB의 수주 지연에도 한진솔루션의 양호한 성장 등으로 매출 규모는 전년동기 수준을 유지했음.
- 원가구조 저하와 인건비, 지급수수료 증가 등에 따른 판관비 부담 확대로 영업이익이 전년동기 대비 적자전환되었으나, 영업외수지 개선 및 법인세비용 감소에도 순이익률이 하락했음.
- AI 서버 시장의 확대에 따른 데이터센터향 SSD 수요 증가와 주요 고객사 내 미드-하이엔드급 기판 점유율 상승, CXL 기판 초도양산 시작 등으로 외형 성장 전망이 밝음.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6% 증가하고, 영업이익은 29.2% 증가하며, 당기순이익은 7.3%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메모리 비중이 99%에 달해 점유율 상승 호재 등 메모리 사이클과 SSD산업 성장의 수혜로 실적 개선이 기대됨.
마이크로컨텍솔 (CXL 관련주)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에서 사용되는 테스트 소켓, 인터페이스 솔루션 등을 개발

마이크로컨텍솔 기업 정보
- 동사는 1999년 12월 기기용접속장치(IC Socket) 제조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2008년 9월 코스닥시장에 상장됨.
- 주로 메모리반도체의 번인테스트를 위한 번인소켓과 모듈 상태의 메모리테스트를 위한 모듈소켓을 생산, 판매하고 있으며, 주요 고객사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을 확보하고 있음.
- 동사는 반도체 및 전자부품의 검사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아이씨소켓과 써멀 프로덱터(Thermal Protector), 산업용 전자개폐기를 제조하여 납품하고 있으며, 세미콘 사업부문의 주요 품목으로는 아이씨소켓, 번인소켓, 모듈소켓이 있음.
- 2023년부터 LS ELECTRIC과 협력하여 어플라이언스 사업부문을 확장 중이며, 어플라이언스 사업의 주요 품목으로는 써멀프로덱터, 산업용 전자개폐기, 컨택 어셈블리가 있음.
마이크로컨텍솔 매출 구성
매출 구분 | 비중(%) |
---|---|
Burn-in Socket Module Socket SSD Socket 외 | 91.32 |
BM-1,BM-3 외 | 4.17 |
IC Socket 외 | 2.70 |
㈜엠에스엘 | 1.49 |
Sleeve 외 | 0.28 |
부동산임대 | 0.05 |
마이크로컨텍솔 기업 실적을 알아봅시다.
- 과열, 과전류 온도조절 장치와 전기회로 제어장치 수주가 증가하였으나 주력인 번인소켓 수주 감소로 전년동기대비 매출이 감소하였음.
- 인건비 등의 판관비 증가에도 원가구조 개선으로 전년동기대비 영업이익률이 상승하고, 영업수지 개선과 외환차익 증가로 순이익률도 상승하였음.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7% 감소하고, 영업이익은 29.3% 감소하며, 당기순이익은 27.3% 감소하였음.
- 아이씨소켓의 주요 성능지표인 Contact Resistance, Inductance, Temperature Range 등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기술개발을 진행 중이며, 반도체 산업의 성장과 설비 투자 확대에 따라 주요 고객사향 번인소켓, SSD 소켓 등의 수주 증가가 예상됨.
심텍 (CXL 관련주)
CXL 및 웨어러블 공략 위해 시스템 IC기판에 투자

심텍 기업 개요 및 현황
- (주)심텍은 2015년 7월에 인적분할되어 설립된 반도체 및 통신기기용 PCB 전문 제조업체임.
- 매출의 대부분이 수출이며, 글로벌 메모리칩 메이커와 패키징 전문기업을 주요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음.
- 주력품목인 메모리 모듈 PCB 중심의 사업에서 FC-CSP, MCP, BOC 등 성장성이 높은 반도체 패키지 Substrate 분야로 고객 확보 및 매출 확대를 추진 중임.
- 국내에 6개의 공장 및 R&D 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중국과 일본에 해외 주요 생산법인을 두고 차별화된 양산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음.
심텍 분기 실적과 재무 살펴보기
- 전방 반도체 산업의 개선과 서버용 DDR5 수요 증가, 스마트폰 출하량 회복 등에 따른 관련 모듈 PCB 및 패키지 기판의 국내외 수주 호조로 매출 규모는 전년동기대비 확대되었음.
- 원가부담 완화와 인건비 등의 판관비 감소로 영업손실 규모가 전년동기대비 축소되었으며, 금융수지 저하 및 법인세수익 감소에도 순손실 규모 역시 축소되었음.
- 글로벌 AI 투자 확대에 따른 서버 및 네트워크 관련 고성능 반도체의 수요 확대와 SSD 시장의 성장, 북미 스마트폰 업체향 MCP 수주 본격화 등을 통해 외형 성장세를 이어갈 듯함.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4.9% 증가하고, 영업손실은 81.8% 감소하며, 당기순손실은 78.8% 감소했음.
오늘의 인기글을 알려드립니다.
확인하셔서 수익을 극대화하세요!
오킨스전자 (CXL 관련주)
DDR5 메모리 인터페이스 개발 완료 (CXL은 DDR5를 기반)

오킨스전자 회사 프로필 확인하기
- 반도체 검사용 소켓 제조업과 테스트 용역업을 주력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경기도 의왕시 오전공업길에 본사 및 공장을 두고 있음.
- 국내 최초로 번인 소켓을 개발한 기술력 보유 업체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국내외 반도체 업체들에 납품하고 있음.
- 반도체 검사 장비용 소켓·커넥터 전문 기업으로, 번인소켓(Burn-In Socket) 제조 분야에서 높은 기술력을 갖고 있음.
- 반도체 Chip 제조 장비에 장착되어 소모성 원부자재로 사용되는 Magnetic Collet 제조사업을 시작하며, 중국 소재의 반도체 테스트 업체인 Okins Electronics (SUZHOU) Co., LTD.와 (주)한국영다반도체를 종속기업으로 보유하고 있음.
오킨스전자 사업별 매출 비중
매출 구분 | 비중(%) |
---|---|
반도체검사용 소켓 | 91.61 |
반도체테스트서비스 | 6.48 |
커넥트, 임대수입 | 1.91 |
오킨스전자 기업 실적 및 평가
- 반도체 산업의 업황 개선 및 주요 고객사들의 출하량 증가에 따른 검사용 소켓의 수주 확대 등으로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신장했음.
- 양호한 매출 신장에 따른 고정비 부담 완화로 영업이익률 전년동기대비 상승하였고, 이자비용 및 파생상품평가손실 증가에도 법인세수익 증가로 순이익이 흑자전환 되었음.
- 2024년 3분기 누적 연결기준 매출액은 전년동기 대비 27.7% 증가하였고, 영업이익은 45.2% 증가했으며, 당기순손실은 183.3% 증가했음.
- 이를 제외하면 매출과 수익성 측면에서 안정적인 성장을 이어가고 있으며, 국내뿐만 아니라 중국을 포함한 해외 고객층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대덕전자 (CXL 관련주)
CXL 메모리 익스팬더의 핵심 부품인 CXL 컨트롤러를 공급
CXL 컨트롤러의 세계 최초 양산업체이며, 삼성전자와 인텔 등의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과 거래 중

대덕전자 기업 개요 및 사업 요약
- 동사는 2020년 5월 1일 (주)대덕(구 대덕전자)의 PCB 사업부문이 인적분할되어 설립되었으며,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에 본사를 두고 있음.
- 동사는 PCB를 주요 제품으로 생산 및 판매하는 전자부품 전문회사이며, 주요 영업 지역은 한국, 중국, 미국, 동남아임.
- 반도체용 PCB 전문 제조업체로, 주요 매출처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앰코테크놀로지코리아 등이며, 베트남과 중국, 미국에 종속기업을 두고 있음.
- 반도체 공정 미세화, 서버 수요 증가, 고대역폭 메모리 용량 증가 등으로 비메모리 반도체 시장이 확대 중이며, 신규 시설투자로 FC BGA 시장에 진출하였음.
대덕전자 기업 실적
- 주요 고객사들의 HBM 집중에 따른 범용 메모리 출하량 둔화에도 DDR5 관련 기판의 수주 증가 등으로 매출 규모는 전년동기대비 소폭 확대되었음.
- CCL, PREPREG 등 주요 원재료 가격 상승에 따른 원가구조 저하로 영업이익률이 전년동기대비 하락하였으며, 유형자산폐기손실 제거에도 순이익률이 하락하였음.
- AI 기능을 탑재한 IT 디바이스의 신제품 출시 확대와 데이터센터 및 서버향 대면적 기판의 수주 가시화, DDR5 비중 확대 등으로 외형 성장 가능성이 있을 듯함.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5% 증가하고, 영업이익은 0.4% 감소하며, 당기순이익은 0.5%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제이티 (CXL 관련주)
DDR5 관련주로 반도체 검사 장비 설계 및 개발 이력 부각 (CXL은 DDR5를 기반)

제이티 기업 개요 및 제품 현황
- 동사는 1998년 7월에 설립되어 반도체 검사장비의 개발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했음.
- 동사는 메모리 및 비메모리 반도체 장비뿐만 아니라 LED 검사 장비, 태양광 장비까지 사업 영역 확장 및 다각화를 추진하고 있음.
- 주요 고객사로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Micron, Hitech, 아이마켓코리아, LG전자, AP시스템, 유진테크 등을 보유하고 있음.
- 동사는 자체 생산설비는 보유하지 않고 외주에 의해 생산하며, 세계시장 점유율 1위인 Burn In Sorter를 개발하여 공급하고 있으며, SSD Module Test Handler, 비메모리 Test Handler, Vision Inspection 등 신규 설비 개발을 진행 중임.
제이티 제품별 매출
매출 구분 | 비중(%) |
---|---|
반도체장비 | 97.53 |
레이저장비 | 1.40 |
기타(임대) | 1.07 |
제이티 분기 실적 살펴보기
- 전방 반도체산업의 업황 개선으로 주요 고객사향 테스트핸들러, 번인소터 등의 반도체장비 수주가 증가하며 전년동기대비 매출 규모가 확대되었음.
- 원가구조 저하에도 판관비 감소로 전년동기대비 영업손실 규모가 축소되었고, 금융수지 저하에도 외화 관련 영업외수지가 개선되어 순이익률이 상승하였음.
- 국내 번인소터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확보한 가운데 반도체산업의 성장과 주요 고객사들의 설비 투자 확대로 반도체 검사장비 수주 증가가 예상되며 매출 성장 전망임.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4.5% 증가하였으나, 영업손실은 2257.4% 증가하고 당기순이익은 80.5% 감소하였으며, 현재는 관련 계약 발표가 없고 25년 투자 계획도 가시적이지 않음.
코리아써키트 (CXL 관련주)
DDR5 High speed(6400Mbps) 제품용 모듈 및 차세대 기업향 SSD, CXL, LPCAAM(Low Power Compression attached memory module) 등 제품 개발 진행 중

코리아써키트 기업 프로필 확인하기
- (주)코리아써키트는 LED PCB 등을 생산하는 전문업체로, 연결 종속회사인 (주)테라닉스와 함께 이동통신기기, 메모리 모듈 등에 사용되는 PCB와 반도체 패키지용 PCB를 제조하고 있음.
- 통신기기를 중심으로 하는 HDI 부문의 매출 품목이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Wearable 기기 및 Display용 HDI로 확대됨에 따라 매출 구조가 다각화되었음.
- 반도체 중심의 Package Substrate는 기존 BOC, CSP 제품에서 고부가가치인 FC-CSP, PoP 등으로 제품군이 다변화되고 있음.
- 국내 종속기업인 테라닉스는 특수PCB를, 인터플렉스는 FPCB를, 시그네틱스는 반도체 패키징업을 영위하며, 해외 종속기업으로는 INTERFLEX VINA와 KOREA CIRCUIT VINA가 있으며, PCB 제조업을 운영하고 있음.
코리아써키트 사업별 매출
매출 구분 | 비중(%) |
---|---|
PCB 제조 | 53.00 |
FPCB 제조 | 32.28 |
반도체 부문 | 13.92 |
임대 외 | 0.80 |
코리아써키트 최근 실적 확인하기
- 반도체 패키징 부문의 부진에도 전방 스마트폰의 출하량 증가에 따른 관련 PCB 및 FPCB의 수주 호조 등으로 매출 규모는 전년동기대비 확대됨.
- 매출 성장에 따른 원가부담 완화와 수출비용 등 판관비 감소로 영업손실 규모는 전년동기대비 축소되었으며, 법인세환급 효과 등으로 순손실 규모도 축소됨.
- IT 디바이스 소형화, 정략화 트렌드에 따른 FPCB의 수요 증가 및 OLED 패널의 침투율 확대, 북미 고객사 태블릿향 HDI 공급 증가 등으로 외형 성장 전망이 밝음.
- 2024년 9월 연결기준 매출액은 5.1% 증가하고, 영업손실은 0.4% 증가하며, 당기순손실은 0.4% 감소할 전망이지만, 주요 원재료의 가격 상승이 전반적인 매출원가를 높이고 있어 차량용 Display, 통신모듈 등 Automotive향 HDI PCB 수요 증가에 발맞추어 폭넓은 고객을 확보하고 있음.
엑시콘 (CXL 관련주)
국내 SSD Tester 시장 점유율 1위 업체로서 CXL 1.1 테스터 개발을 완료
CXL 2.0 테스터 개발 진행 및 올해 상용화 기대감에 따른 부각.

엑시콘 기업 개요를 살펴봅시다.
- 반도체 메모리 Component, Module 제품 및 광소자 테스트를 위한 시스템의 개발,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2001년 3월에 설립되었음.
- 동사는 반도체 후공정 분야의 검사장비 제조업체로서 Memory Tester, Storage Tester, DC Tester 및 SoC Tester 등의 제품을 보유하고 있음.
- 2005년 DDR2 테스트 장비(880Mbps, 256para) 개발을 시작으로, 고속화된 DDR3, DDR4, DDR5 관련 검사장비 개발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음.
- 다양한 비메모리 제품으로 검사대상을 확장하여 테스트할 수 있도록 SoC 플랫폼을 구축하였고, 이를 발판으로 시스템 반도체 시장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할 계획임.
엑시콘 최근 실적과 재무 확인하기
- 주요 고객사들의 낸드플래시 재고 조정 및 HBM 집중 등으로 SSD 관련 테스트 수주가 위축되었고, 이로 인해 매출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크게 축소됨.
- 매출 급감에 따른 원가 및 판관비 부담이 가중되어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적자전환하였으나, 관계사 투자주식 처분이익 반영 및 금융수지 개선, 법인세 환급 등으로 순이익률은 상승하였음.
- 2024년 9월 기준으로 연결 기준 매출액은 73.6% 감소하였고,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모두 적자전환되었음.
- 반도체 경기 개선세 확대 및 AI 서버 시장의 성장에 따른 데이터센터향 SSD 수요 증가와 신규 CXL 테스터의 납품 가시화 등이 외형 회복에 일부 기여할 가능성이 있음.
이 글은 특정 종목을 추천하는 글이 아닌 단순 정보 전달을 위한 글이며, 글에 있는 정보에는 오류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으니 신중히 매매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