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전지 대형주에는 에코프로비엠, 포스코케미칼, 엘앤에프, 에코프로, 천보, SK아이이테크놀로지 등이 있습니다.
2차전지 관련주 중 시가총액이 상대적으로 큰 대형주를 정리하였습니다. 대형주는 거래대금이 많고 안정적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기관이나 외국인투자자가 선호하는 주식입니다.
대형주는 이미 성장한 기업이고, 시가총액이 크므로 급등을 기대하기는 어렵지만, 급락의 우려도 적어 변동성이 크지 않고 안정적인 것이 특징입니다.
아래에서 상승이 예상되는 2차전지 대형주의 주식 정보를 확인하세요!
오늘 최고 조회수 주식정보 글입니다.
확인하셔서 수익을 극대화하세요!
상승하는 주식의 관련 이유와 기업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어야 향후 주식으로 수익을 낼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높은 수익률을 위하여 아래에서 2차전지 대형주 6종목의 관련 이유와 기업소개, 기업실적을 자세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에코프로비엠 (2차전지 대형주)
리튬이온 2차전지용 NCA, NCM, L2N, P-NCM 등의 양극재(양극활물질)를 개발 및 양산하는 업체

주식 기업 소개
- 2016년 5월 (주)에코프로의 2차전지소재 사업부문이 물적분할되어 신설되었으며, 충북 청원구 오창산업단지에 본사 및 공장을 두고 있음.
- 주요 제품은 리튬 2차전지의 양극활물질 및 전구체로 2022년 9월 기준 월 약 15,000톤의 양극소재 생산능력을 확보하였으며, 수요에 대비하여 신증설을 지속하고 있음.
- 글로벌 NCA 양극소재분야에서 스미모토메탈마이닝에 이어 세계 2위의 시장점유율을 확보하고 있으며, 기술력 강화 및 고객 다변화로 시장지배력을 확대하고 있음.
주식 기업 실적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47.6% 증가, 영업이익은 226% 증가, 당기순이익은 183.2% 증가
- 동사의 Global Non-IT 및 EV용 양극재 판매가 증가하였고 신규 공장 가동률 향상 및 물량 증가에 따른 영업이익이 크게 확대
- 헝가리에 약 1조원을 투자하여 10만 8천톤의 양극재 생산 능력을 확보하는 계획을 수립, 2024년 하반기부터 양산이 개시될 예정.
포스코케미칼 (2차전지 대형주)
2차전지 소재인 흑연계 음극재와 고용량 Hi-Ni계 NCM 양극재를 양산하고 있으며, NCMA 양극재, 전고체 전지용 양극재, Co-free NMx 양극재 등을 개발 중에 있음

주식 기업 소개
- 포스코그룹 계열의 종합내화물 업체로 내화물 제조 및 산업용로 재정비 사업과 생석회, 음극재, 화성품 가공, 화성공장 위탁 운영 등의 라임케미칼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 내화물(제조 및 공사)과 생석회는 포스코의 철강 생산에 필수적인 소재로 주 거래처인 포스코에서 비교적 안정적인 매출이 발생하고 있음.
- 사업 부문은 내화물 제조 및 산업용노재를 정비하는 내화물 사업부, 생석회 등을 제조하는 라임화성 사업부, 양극재, 음극재를 제조 및 판매하는 에너지소재 사업부로 구분됨.
주식 기업 실적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3.6% 증가, 영업이익은 60.6% 증가, 당기순이익은 23.2% 증가
- 에너지부문을 필두로 주력부문에서 꾸준한 외형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으며, 원자재 가격 상승 영향에도 불구하고 매출 확대 및 비용 절감을 통해 영업수익성 또한 크게 상승한 모습
- 포스코, OCI 등 대형 거래선을 기반으로 한 안정적 수주를 바탕으로 향후 꾸준한 성장세 계속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엘앤에프 (2차전지 대형주)
NCM(LiNiMnCoO2), LCO(LiCoO2), LMO(LiMn2O4) 등의 2차전지 양극활물질을 제조, 판매하는 기업

주식 기업 소개
- 동사는 2000년 7월에 설립되어, 2차전지 양극활물질과 방열테이프 및 전극용 Paste를 생산, 판매하고 있음.
- 2016년 2월 세계 2차전지 시장의 성장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고 글로벌 사업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자회사 엘앤에프신소재를 흡수합병하였음.
- 종속회사로는 2차전지용 양극활물질을 생산하는 광미래신재료유한공사와 정보, 전자, 화학관련 소재 제조, 판매하는 제이에이치화학공업(주)이 있음.
주식 기업 실적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50.2% 증가, 영업이익은 1231.6%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 동사의 사업 부문 중 대형 전지향 양극재 부문은 한국판 뉴딜 프로젝트 관련 수혜 분야
- 배터리 소재 고객사들이 국내 EV/ESS 배터리 사업 모두 영위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린 뉴딜 수혜 확대가 전망되며, 그린 뉴딜 성과 지표에 따라 국내 전기차 누적 보급대수는 지속 증가 전망.
오늘의 인기글을 알려드립니다.
확인하셔서 수익을 극대화하세요!
에코프로 (2차전지 대형주)
에코프로비엠(2차전지 양극 소재 생산), 에코프로머티리얼즈(양극활물질용 전구체 생산), 에코프로이노베이션(리튬 분쇄 및 가공, 양극소재용 리튬 생산) 등 2차전지 소재 관련 기업을 자회사로 보유하고 있는 지주회사

주식 기업 소개
- 1998년 10월 코리아제오륨으로 설립되어 2001년 2월 현 사명으로 변경, 2016년 5월 이차전지소재 사업부를 물적분할하여 에코프로비엠 설립, 종속기업으로 보유.
- 글로벌 과점체제인 NCA 양극재 시장에서 스미토모메탈마이닝에 이어 세계 2위의 CAPA를 보유하고 있으며, 시장지배력을 확대하고 있음.
- 2021년 5월 대기오염방지 및 친환경사업 부문을 인적분할하여 에코프로에이치엔을 설립하였으며 동사는 지주사로 전환하였음.
주식 기업 실적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61.3% 증가, 영업이익은 356.7% 증가, 당기순이익은 69.2% 감소
- 당 분기 기준 에코프로비엠의 양극활물질은 연결기준 약 3조 4,128억원의 매출 성과를 달성함
- 가족 회사들과 함께 업스트림 밸류 체인을 형성하여 원료 및 가격 경쟁력 보유를 목표하고 있음. 공시대상기간 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P-NCM 및 P-NC 전구체를 포함하여 약 4,466억원의 매출 성과를 달성함.
천보 (2차전지 대형주)
2차전지 전해질 및 전해액첨가제를 개발 및 생산하는 업체로 SN, DPN 및 AN 등의 전해액 첨가제를 생산하고 있음

주식 기업 소개
- 2007년 10월에 설립되어 EMC 수지원료, LCD와 반도체의 첨가물, 의약품첨가물의 제조 및 판매를 주업으로 하고 있으며, 2019년 2월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 사업 부문은 전자소재(LCD식각액첨가제, OLED소재, 반도체공정 소재 등), 2차전지 소재(전해질, 전해액첨가제), 의약품 소재(의약품중간체), 정밀화학 소재로 구분.
- LCD식각액첨가제인 아미노테트라졸(ATZ) 글로벌 점유율 1위, 반도체공정소재 국내 시장점유율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바 시장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음.
주식 기업 실적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3.5% 증가, 영업이익은 46.6% 증가, 당기순이익은 44.2% 증가
- 매출원가, 판매비와 관리비, 인건비 및 복리후생비가 증가했으나 매출 증가폭이 비용 증가폭을 웃돌며 수익성은 개선되었으며, 2021년까지 지속적으로 공장을 증설해옴
- 현재 LiPO2F2는 원가절감을 위해 신규공법을 적용한 공장 증설 중이며 LiFSI는 새만금국가산업단지에 대규모 공장 건설 중.
SK아이이테크놀로지 (2차전지 대형주)
2차전지 주요 소재인 분리막(LiBS, Lithum-ion Battery Separator)을 생산하는 기업으로 IT기기용 분리막 및 전기자동차 배터리용 내열 분리막을 개발하여 생산하고 있음

주식 기업 소개
- 2019년 4월 SK이노베이션(주)의 소재사업 부문이 물적분할되어 신설된 법인으로, 배터리 소재 등의 생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 주요 제품은 전기차용 분리막, IT용 분리막, 플렉서블 커버 윈도우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매출처는 SK온, LG에너지솔루션, 파나소닉 등이 있음.
- 전기차 시장 성장에 대응하기 위해 중국 Phase 1~3단계 양산, 폴란드 Phase 2~4단계 투자 등 LiBS 생산라인을 증설 중에 있음.
주식 기업 실적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5%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 빠르게 성장 중인 EV 시장을 주요 타겟으로 한 고내열/고강도/품질균일성을 갖춘 고품질 분리막 판매를 확대할 계획이며, 2022년 3분기 말 기준 총 생산 Capability는 15.3억㎡임
- 중국 및 폴란드에 생산라인 추가 증설을 추진중이며, 2024년에는 총 27억㎡의 생산 능력을 확보하게 될 것으로 기대됨.
이 글은 특정 종목을 추천하는 글이 아닌 단순 정보 전달을 위한 글이며, 글에 있는 정보에는 오류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으니 신중히 매매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