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용기 관련주 6종목 | 화장품 부자재

화장품 용기 관련주에는 연우, 펌텍코리아, 승일, 대륙제관, 휴엠앤씨, 코디 등이 있습니다.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의 내용물 손실이나 오염을 방지하여 화장품의 변형이 없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이는 화장품의 유통과 판매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 브랜드의 이미지를 결정하는 핵심 요소로 소비자들의 화장품 선택에 큰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아래에서 주가 상승 확률이 높은 화장품 용기 관련주의 주식 정보를 확인하세요!

 

오늘 최고 조회수 주식정보 글입니다.

확인하셔서 수익극대화하세요!

 

급등하는 주식을 무작정 매수하기보다, 관련 이유를 정확히 알고 어떤 기업인지를 파악한 후에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한 투자의 자세입니다.

성공적인 투자를 위하여 아래에서 화장품 용기 관련주 6종목의 관련 이유와 기업소개, 기업실적을 꼼꼼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연우 (화장품 용기 관련주)

국내 화장품 용기 시장점유율 1위 업체로 주요 제품은 펌프형 용기, 튜브형 용기, 견본용 용기 등이 있음

연우 주식 정보
연우 주식 정보

주식 기업 소개

  • 1994년 9월 설립된 화장품 포장재 제조업체로, 디스펜스 펌프가 장착된 펌프형 용기와 튜브형 용기, 견본용 용기 등 화장품 용기를 생산하고 있음.
  • 1990년 국내 최초로 화장품 디스펜스 펌프를 개발하여 상용화한 가운데 국내외 다수의 지적재산권 보유로 높은 기술력을 확보,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등에 공급 중임.
  • 국내 화장품 용기 시장에서 펌텍코리아, 삼화플라스틱, 장업시스템, 태성산업 등과 경쟁하고 있으며, 시장점유율 1위 업체로 경쟁력을 확보, 2022년 6월 한국콜마에 인수되었음.

주식 기업 실적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5.5% 감소, 영업이익은 91.6% 감소, 당기순이익은 94.3% 감소
  • 당분기 기준 주요 제품의 연결매출비중은 펌프형 용기 75.2%, 튜브형 용기 16.1%, 견본용 용기 7.3%임
  • 국가별로는 내수 882억(48.2%), 수출 946억(51.8%)으로 안정적인 포트폴리오를 구축하였으며, 필터 교체형 마스크 판매 사업을 시작하여 영역 확장을 진행하고 있음.
 

펌텍코리아 (화장품 용기 관련주)

국내 화장품 용기 시장점유율 2위 업체로 주요 제품은 기초 화장품 용기, 파운데이션 용기 등이 있음

펌텍코리아 주식 정보
펌텍코리아 주식 정보

주식 기업 소개

  • 동사는 플라스틱 용기의 제조 및 유통업을 주력사업으로 영위하며, 주요 제품은 화장품용 디스펜서와 진공용기임.
  • 화장품 용기 시장 내 2위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으며, 주요 매출처는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이니스프리, 미샤, 에스티로더, 로레알 등 국내외 화장품 업체들임.
  • 도매 및 상품 중개업체인 중국 소재의 Pum-Tech Shanghai Co.,Ltd.와 플라스틱 사출임가공 업체인 국내 소재의 피티프라스 등을 종속기업으로 보유.

주식 기업 실적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6% 증가, 영업이익은 3% 증가, 당기순이익은 14% 증가
  • 매출액 소폭 증가하였으나 매출원가 증가율이 이를 상회하였지만 판관비, 인건비 등 비용 절감에 성공하여 영업이익 및 당기순이익은 증가하였음
  • 2020년도 코로나19로 인하여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한 이후 건기식 시장은 꾸준히 성장 중이며, 이에 동사 또한 수혜를 입고 있는 것으로 파악.
 

승일 (화장품 용기 관련주)

국내 에어졸관 시장점유율 1위 업체로 헤어스프레이, 수분크림, 미스트 등의 화장품에 사용되는 에어졸캔을 생산하고 있음

승일 주식 정보
승일 주식 정보

주식 기업 소개

  • 1978년 설립되어 에어졸관(살충제, 화장품케이스 외) 및 일반관(윤활유관, 페인트관, 식용유관 외) 제조업을 주력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는 코스닥시장 상장업체임.
  • 매출의 70% 정도를 담당하고 있는 에어졸관은 주로 OEM 납품 위주로 생산되며, 생활용품, 화장품 제조사에 공급되고 있음.
  • 주력제품인 에어졸 부문은 관계사인 태양과 함께 시장점유율 60% 내외 수준으로 국내 1위의 양호한 시장지배력 유지하고 있음.

주식 기업 실적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2.1% 증가, 영업이익은 33.1% 감소, 당기순이익은 29.5% 감소
  • 원가율 악화와 판관비, 인건비 등 비용이 늘어나며 매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영업이익이 감소함
  • 동종업계 최초 CGMP 인증 에어졸 완제품 제조공장을 완공 등 적극적인 투자를 통해 국내 및 세계 시장의 요구에 바로 대응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춤.
 

오늘의 인기글을 알려드립니다.

확인하셔서 수익극대화하세요!

 

대륙제관 (화장품 용기 관련주)

국내 에어졸관 시장점유율 2위 업체로 헤어스프레이관 등의 일반 에어졸관을 화장품회사 등에 납품하고 있음

대륙제관 주식 정보
대륙제관 주식 정보

주식 기업 소개

  • 일반관(윤활유관, 페인트관 외), 에어졸관(살충제, 헤어스프레이), 연료관(휴대용 부탄가스) 등 각종 제관 제조업을 주력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는 코스닥시장 상장업체임.
  • 일반관은 국내 정유사 및 페인트 제조사들과 장기공급계약으로 납품하며, 휴대용 부탄연료의 경우 자체 브랜드(맥스 CRV, 퍼펙트, 세이프)로 판매법인인 맥선을 통해 판매함.
  • 윤활유관, 식용유관, 페인트관 등 일반관의 경우 국내시장의 약 60% 이상을 선점하고 있는 선두기업으로 시장지배력 확보.

주식 기업 실적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8.7% 증가, 영업이익은 5% 증가, 당기순이익은 27.7% 증가
  • 휴대용 부탄가스의 경우, C.R.V.기술을 한층 업그레이드한 TRIPLE SEAMED C.R.V. 등의 독자적인 신기술을 꾸준히 개발하여 적용함으로써 품질 우위와 거래처 확보 등을 통하여 지속적인 성장을 이룸
  • 일반 에어졸관의 경우에도 지속적인 기술개발과 품질 향상에 힘쓰고 있음.
 

휴엠앤씨 (화장품 용기 관련주)

화장품 유리 용기, 메이크업 스펀지(Sponge) 및 퍼프(Puff), 용기제품(Container) 등 메이크업 소품을 직접 생산, 제조, 수출하는 화장품 부자재 전문기업

휴엠앤씨 주식 정보
휴엠앤씨 주식 정보

주식 기업 소개

  • 2002년 6월 설립되어 인천광역시 서구 원적로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화장용 스펀지 및 소품 등을 주로 생산하고 있음.
  • 주요 제품은 스펀지, 퍼프, 용기 등이며, 국내기업인 코스맥스, 씨앤씨앤, 아모레퍼시픽, 라이플러스 등과 해외 기업인 HCT, 코스맥스 차이나 등으로 판매함.
  • 2019년 6월 영화 제작 및 판매업체인 블러썸픽쳐스와 영상콘텐츠 제작 및 판매업체인 블러썸스토리를 종속기업으로 편입하였음.

주식 기업 실적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79.9%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은 447.3% 증가
  • 매출액 증가하며 외형 성장 성공, 판관비 역시 증가했지만 부담이 적어졌고 인건비및복리후생비는 1% 증가, 이에 따라 영업이익이 흑자전환에 성공하였음
  • 동사는 메이크업 NBR 스펀지 발포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국내외 거래는 127개(2020년 기준)에 이를 정도로 특정업체에 편중 없이 다양한 거래처를 확보함.
 

코디 (화장품 용기 관련주)

주요 종속회사 이노코스텍에서 화장품 용기 제조 및 판매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코디 주식 정보
코디 주식 정보

주식 기업 소개

  • 1999년 2월에 설립되어 색조화장품 OEM/ODM과 LCD Probe Unit, 화장품 용기 제조 및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 립류, 유화류, 파우더류, 펜슬류, 네일 등의 색조화장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화장품 제조시장에서 한국콜마, 코스맥스, 코스메카코리아, 코스온 등과 경쟁하고 있음.
  • 화장품 용기 제조 및 판매업을 영위하는 (주)이노코스텍과 화장품 유통 부문을 담당하는 (주)에스유알코리아를 종속기업으로 보유하고 있음.

주식 기업 실적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8% 증가,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손실은 273.4% 증가
  • 코로나19로 인한 세계경제 수요 및 공급 악화로 화장품 산업 성장에 큰 제약이 따를 것으로 예측되며, 특히, 중국, 한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에서 시장규모가 둔화되는 양상임
  • 경영효율성 제고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매출 둔화와 함께 원가와 판관비 증가로 영업손실이 지속되고 있음.
 

이 글은 특정 종목을 추천하는 글이 아닌 단순 정보 전달을 위한 글이며, 글에 있는 정보에는 오류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으니 신중히 매매하시기 바랍니다.

 

오늘의 인기글을 소개해드립니다.

확인하셔서 수익극대화하세요!

 

현재 글을 공유하기

  • 네이버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