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그룹 2차전지 리튬 관련주에는 POSCO홀딩스, 포스코퓨처엠, 포스코스틸리온, 포스코엠텍, 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DX 등이 있습니다.
포스코그룹은 지난 11일 ‘포스코그룹 2차전지 소재사업 밸류데이’에서 2030년 2차전지 소재 부문에서 매출 62조원을 목표로 한다고 발표하였습니다.
포스코홀딩스는 2030년 리튬 42만 3000톤, 니켈 24만 톤, 양극재 100만 톤, 음극재 37만 톤 등의 2차전지 소재 의 연간 세부 생산 목표도 공개하였습니다.
아래에서 주가 상승 확률이 높은 포스코그룹 2차전지 리튬 관련주의 주식 정보를 확인하세요!
오늘 최고 조회수 주식정보 글입니다.
확인하셔서 수익을 극대화하세요!
상승하는 주식의 관련 이유와 기업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어야 향후 주식으로 수익을 낼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성공적인 투자를 위하여 아래에서 포스코그룹 2차전지 리튬 관련주 6종목의 관련 이유와 기업소개, 기업실적을 꼼꼼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POSCO홀딩스 (포스코 리튬 관련주)
광양제철소 리튬제조공장(PosLX)에서 연산 1,500톤 규모의 수산화리튬을 생산하고 있으며, 2024년 상반기 준공을 목표로 아르헨티나 리튬 염호 근처에 연산 2만5000톤 규모의 수산화리튬 생산 공장을 건설하고 있음

주식 기업 소개
- 동사는 설립후 철강재의 제조 및 유통업을 주력사업으로 영위하여왔으나, 2022년 3월 1일 철강사업 부문을 물적분할하여 (주)포스코를 설립, 지주회사로 전환하였음.
- 동사의 매출 부문은 철강, 친환경인프라, 친환경미래소재, 기타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철강 부문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음.
- 주요 종속기업인 (주)포스코, (주)포스코인터내셔널, (주)포스코건설, 포스코에너지(주) 등과 다수의 해외법인을 종속기업으로 보유하고 있음.
주식 기업 실적
- 2023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9.2% 감소, 영업이익은 68.8% 감소, 당기순이익은 57.6% 감소
- 동사는 지난 1월 포항제철소 완전정상화에 따라 철강부문에서 국내외 이익이 흑자전환했고, 친환경 미래소재 매출이 전분기 대비 44% 성장한 것이 주효한 이유로 보임
- 전기차용 이차전지의 시장규모 확대를 예상해 설비 확충 등 성장 사업 발굴을 위한 투자에 집중하고 있어 매출 성장이 기대됨.
포스코퓨처엠 (포스코 2차전지 관련주)
양극재와 음극재 모두 생산 및 공급하는 이차전지 소재 기업으로 포스코그룹 광물 사업을 통해 리튬 내재화를 추진하고 있음

주식 기업 소개
- 포스코그룹 계열의 종합내화물 업체로 내화물 제조 및 산업용로 재정비 사업과 생석회, 음극재, 화성품 가공, 화성공장 위탁 운영 등의 라임케미칼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 내화물(제조 및 공사)과 생석회는 포스코의 철강 생산에 필수적인 소재로 주 거래처인 포스코에서 비교적 안정적인 매출이 발생하고 있음.
- 사업 부문은 내화물 제조 및 산업용노재를 정비하는 내화물 사업부, 생석회 등을 제조하는 라임화성 사업부, 양극재, 음극재를 제조 및 판매하는 에너지소재 사업부로 구분됨.
주식 기업 실적
- 2023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0.8% 증가, 영업이익은 20.7% 감소, 당기순이익은 8% 증가
- 전방산업인 이차전지산업의 활황으로 에너지소재부문의 실적 크게 상승하였으나, 원가율 상승 및 각종 비용 증가 여파로 수익성은 다소 하락한 상황
- LG에너지솔루션, 포스코, OCI 등 대형 거래선을 기반으로 한 안정적 수주를 바탕으로 향후 꾸준한 성장세 계속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포스코스틸리온 (포스코 그룹주)
표면처리강판 제조 업체로 포스코그룹의 2차전지 소재 사업 추진 소식에 부각되는 경향이 있음

주식 기업 소개
- 철강 냉연제품의 제조 및 유통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냉연강판, 아연도금강판, 알루미늄도금강판 등을 주력제품으로 생산함.
- 미얀마 양곤에 철강재 제조 및 판매업체인 MYANMAR POSCO C&C COMPANY LIMITED를 종속기업으로 보유하고 있음.
- 국내 냉연제품 시장은 포스코홀딩스, 현대제철이 과점한 가운데, 케이지스틸, 동국제강, 세아씨엠 등이 그 뒤를 이어 경쟁하고 있음.
주식 기업 실적
- 2023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6.3% 감소, 영업이익은 92.8% 감소, 당기순이익은 80.8% 감소
- 주력인 도금 컬러 강판 사업이 내수시장과 해외에서 모두 부진하며 매출 감소와 원가율 악화에 따라 영업이익이 크게 감소하였음
- 동사는 2021년 프리미엄 컬러 강건재 브랜드 ‘인피넬리’를 런칭하여 홍보를 강화하면서 판매확대를 추진하고 있음.
오늘의 인기글을 알려드립니다.
확인하셔서 수익을 극대화하세요!
포스코엠텍 (포스코 그룹주)
포스코 계열의 철강포장 및 철강부원료 사업을 영위하는 업체로 포스코 그룹이 투자한 아르헨티나 리튬염호 사업 추진 소식에 리튬 관련주로 부각받는 경향이 있음

주식 기업 소개
- 제강용 알루미늄 탈산제 등 철강부원료의 제조 및 유통업, 철강제품의 포장 용역업을 주력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 주요 고객사는 포스코이며, 포스코의 철강제품 포장업과 마그네슘 공장, 페로실리콘 공장, 페로망간 공장을 위탁운영하고 있음.
- 알루미늄 탈산제는 제강공정에서 과포화된 산소를 제거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부원료이며, 철강포장업은 열연 및 냉연 등의 공장에서 생산되는 코일을 포장하는 업무임.
주식 기업 실적
- 2023년 3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1.6% 감소, 영업이익은 69.7% 감소, 당기순이익은 60.6% 감소
- 모회사인 포스코가 아르헨티나에 소유한 리튬호수의 가치가 부각되고 있으며, 2차 전지 관련주로 분류되고 있으나 직접적으로 영위하고 있는 리튬 관련 사업은 없음
- 포항 폭우로 인한 제철소 피해의 회복이 예상되어 생산량 정상화에 따른 실적 회복 예상.
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 그룹주)
호주계 광업회사 블랙록 마이닝의 자회사 탄자니아 ‘파루 그라파이트(FARU Graphite)’와 이차전지 음극재용 천연 흑연 장기 공급 계약을 체결하였음

주식 기업 소개
- 2000년 12월 (주)대우의 무역 부문의 인적분할을 통해 설립되었으며, 2010년 11월 포스코 기업집단의 계열사로 편입되었음.
- 철강, 금속, 자동차 부품, 플랜트 등의 무역 부문과 천연가스 등의 에너지 부문 그리고 호텔, 임대, 팜오일, 유연탄 등의 투자 부문을 영위하고 있음.
- 유통 경쟁력 강화를 위해 철강, 가공, 스크랩 등 포스코의 국내 유통을 담당하던 (주)포스코P&S를 2017년 3월 흡수합병하였음.
주식 기업 실적
- 에너지 부문에서는 환율 하락으로 인한 해외 가스전 이익이 소폭 감소하는 등 수익성 감소 요인이 있었음에도 발전량 확대에 힘입어 전사 영업이익의 절반인 1,426억원을 창출함
- 글로벌사업 부문에선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철강과 식량 제품 모두 판매가 확대되었으며, 포항제철소 정상화로 철강 원료 공급량 회복이 실적에 기여함
- 브라질산 대두 중국 판매, 인도네시아 팜유 판매 지속 증가 등으로 식량 사업 역시 호조를 보임.
포스코DX (포스코 그룹주)
포스코그룹 계열의 IT서비스 및 시스템 엔지니어링 사업 영위 업체로 포스코그룹 주식들의 상승 소식에 영향을 받는 경향이 있음

주식 기업 소개
- 포스코그룹의 IT서비스 및 엔지니어링 전문기업으로, 주요 고객사는 포스코, 포스코건설, 포스코에너지 등의 계열사와 인천국제공사, 한국철도공사 등임.
- 전기자동제어기기 설계 및 설치업을 영위하는 인도네시아, 브라질 법인 외에 중국 및 베트남법인을 종속기업으로 보유하고 있음.
- 포스코그룹의 스마트팩토리 전환 및 스마트 솔루션을 중심으로 대외 사업 추진, 스마트 융합 기술분야 R&D 확대 등을 통하여 신사업 확대에 주력.
주식 기업 실적
- 2023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4.6% 증가, 영업이익은 66.6% 증가, 당기순이익은 68.4% 증가
- 매출원가와 판관비등의 고정비용부담이 증가하였으나 매출호조로 인해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모두 증가함
- 동사는 금년에 한진택배메가허브 구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풀필먼트센터 등 관련 사업을 확대 추진할 계획과 Smart통합물류시스템 구축, 창고자동화사업 등 그룹사 물류혁신 사업도 확대해 나갈 계획임.
이 글은 특정 종목을 추천하는 글이 아닌 단순 정보 전달을 위한 글이며, 글에 있는 정보에는 오류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으니 신중히 매매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