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 에너지 관련주에는 HD현대에너지솔루션, 대명에너지, 에스에너지, SDN, 신성이엔지, OCI 등이 있습니다.
태양광 발전은 태양으로부터 오는 빛 에너지를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기로 변환하는 발전 방식입니다.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구성 기기로는 태양전지, 접속함, 인버터, 축전지, 모니터링 시스템 등이 있습니다.
태양전지는 태양에너지가 입사되어 전류를 생성시키는 곳이고, 접속함은 모듈에서 발생된 직류(DC)전력을 모아 인버터로 전달하는 기기입니다.
인버터는 태양전지에서 생산된 직류전기(DC)를 교류전기(AC)로 바꾸는 기기이며, 축전지는 낮에 생산된 전기를 밤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전기를 저장하는 기기이고, 모니터링 시스템은 시스템의 상태를 파악하고 고장 및 이상을 진단하는 역할을 합니다.
지금부터 수익 극대화를 위해 아래에서 태양광 에너지 관련주의 주식 정보를 빠르게 확인하세요!
오늘 최고 조회수 주식정보 글입니다.
확인하셔서 수익을 극대화하세요!
급등하는 주식을 무작정 매수하기보다, 관련 이유를 정확히 알고 어떤 기업인지를 미리 파악한 후에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한 투자의 자세입니다.
지금부터 성공적인 투자를 위하여 아래의 내용을 꼼꼼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HD현대에너지솔루션 (태양광 관련주)
태양광 셀과 태양광 모듈 제조 및 판매를 주력 사업으로 영위하는 현대중공업그룹 계열의 태양광업체
인버터(PCS), 태양광 솔루션, O&M분야로 사업을 확대하고 있음

HD현대에너지솔루션 기업 개요 및 제품 요약
- 2016년 12월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설계, 개발, 제조 등을 주 목적으로 현대중공업(주) 그린에너지사업부를 현물출자하여 설립되었음.
- 태양광 셀, 모듈 및 태양광발전 종합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태양광 모듈 판매 비중이 전체 매출액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음.
- 2018년 5월 계열회사인 현대힘스(주)로부터 제어시스템 사업부문을 인수하여 인버터 및 ESS 판매를 본격적으로 시작하였음.

HD현대에너지솔루션 분기 실적 정보
- 2023년 6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3.7% 감소, 영업이익은 49.4% 감소, 당기순이익은 57.3% 감소
- 전년동기 대비 매출액이 감소하였으며, 인건비 증가로 인해 영업이익도 감소함
- 외화환산손실 등 금융비용 증가로 인해 당기순이익 또한 감소함
- 신규고객 발굴과 마케팅 강화 노력 중임
- 신규 시설투자를 통해 대면적(M6, M10) 태양전지 및 고출력, 저탄소 육상/수상용 태양광 모듈 제품을 공급할 계획임.
대명에너지 (태양광 에너지 관련주)
태양광에너지 및 풍력에너지 기반 신재생에너지 사업개발, 설계, 조달, 시공 및 운영관리 업체
태양광발전단지 건설도급공사를 수행하고 있으며, 발전소 유지보수 및 관리 용역을 수행하고 있음

대명에너지 기업 개요와 매출 요약
- 동사는 신재생에너지 사업 발전원인 태양광과 풍력을 기반으로 사업 개발부터 설계, 조달, 시공 및 운영관리까지의 전 단계 사업을 수행하고 있음.
- 주요 사업은 신재생에너지 발전소 건설 부문, 발전소 O&M, 업무위탁, 사전개발 용역 부문이며, 이와 함께 전력 및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를 판매 하고 있음.
- 민간 사업자로는 풍력 발전시장 내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주요 매출처로 금성산풍력발전, 원동풍력발전, 영암태양광발전 등을 두고 있음.

대명에너지 최근 실적을 확인하세요.
- 2023년 6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9.5% 감소, 영업이익은 4.3% 증가, 당기순이익은 52.1% 감소
- 향후 글로벌 전력 설비 증가의 상당 부분이 태양광과 풍력으로 이뤄질 전망이며, 특히 태양광 발전과 ESS를 결합한 수요가 빠르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
- 향후 성장할 신재생에너지 O&M(Operating & Maintenance)사업 확장 및 가상발전소 사업자로 진출하기 위해 기술개발을 지속할 예정임.
에스에너지 (태양광 발전 관련주)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태양전지 모듈 제조업체
주요 제품으로는 태양광발전소 공사 EPC,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태양전지 등이 있음

에스에너지 정보를 자세히 알아봅시다.
- 2001년 1월에 설립되어 2007년 10월에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었으며, 태양전지 및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제조 및 판매를 주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 태양광발전소 설립에서부터 발전소 설립에 필요한 태양광모듈 납품, 발전소 설치 후 O&M사업과 매각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에 참여하고 있음.
- 동사는 에스파워(주), 에스퓨얼셀(주), S-ENERGY Japan Co., Ltd., S-ENERGY CHILE SPA 등 국내외 종속기업을 보유하고 있음.

에스에너지 기업 실적을 알아봅시다.
- 2023년 6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6%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손실은 71.4% 감소
- 최근 세계 각국의 그린뉴딜 정책, 탄소중립 선언, ESG 경영 등으로 국내외 태양광 설치량은 앞으로도 꾸준히 증가할 예정임
- 동사는 성동조선 지붕태양광 20MW 준공하였고 2023년에는 지붕태양광 전용펀드를 신설하여 100MW 준공을 목표로 실적개선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기대.
오늘의 인기글을 알려드립니다.
확인하셔서 수익을 극대화하세요!
SDN (태양광 발전소 관련주)
태양광모듈 제조 및 태양광발전소 설치 전문업체
태양광 발전사업자와 시스템 공급업체를 대상으로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태양전지판, Inverter 등을 공급하고 있음

SDN 기업 정보 및 매출 확인
- 1994년 3월에 설립되어 태양광발전소 건설, 태양광모듈 생산 및 선박용엔진의 판매 등을 주 사업목적으로 하고 있음.
- 국내 선외기 부문에서 점유율 1위를 차지하며 시장을 선도 중인 엔진조선사업부와 국내외 태양광발전소 건설 및 태양광모듈을 생산, 판매하는 태양광사업부로 구분됨.
- 연결대상 종속회사로는 에너지농장(주), 에스디엔엔지니어링(주)를 보유하고 있으며, Solar Group System EAD는 2022년 매각하였음.

SDN 최근 실적과 재무 확인하기
- 2023년 6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8.6% 증가,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손실은 525% 증가
- 매출은 증가하였으나 매출원가가 급증하며 영업이익도 적자전환하며 당기순손실 지속됨
- 정부의 그린뉴딜, NDC 상향 및 2050년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의 확대가 불가피하며, 이로 인하여 RPS 공급의무량 비율 또한 기존 2021년 9% 비율에서 2026년 25%로 확대될 예정임.
신성이엔지 (태양광 에너지 관련주)
태양광 모듈 및 태양광 셀을 생산하여 판매하는 사업과 직접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ESS를 설치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신성이엔지 개요와 매출 구성
- 2016년 계열회사였던 (주)신성이엔지 및 (주)신성에프에이를 흡수합병하여, 존속법인이 영위해오던 태양광 사업부문 이외에 클린룸 사업부문과 자동화설비 사업부문을 영위함.
- 그러나 재무건전성을 높이기 위해 2018년 6월 자동화설비 사업부문(신성에프에이)을 중국 시아선인베스트매니지먼트에 양도하였음.
- 우리기술투자(주), (주)신성씨에스, (주)지셀이엔씨 등의 국내 계열회사와 신성이엔지베트남(유) 등의 해외 계열회사를 두고 있음.

신성이엔지 최근 실적과 평가
- 2023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2% 감소, 영업이익은 49%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 재생에너지 사업부문에서 2023년 초에는 폴리실리콘 가격이 크게 떨어져 원자재인 폴리실리콘 가격이 안정화됨에 따라 수익성 개선이 전망됨
- 국내 주요 디스플레이 회사를 중심으로 투자를 늘릴 계획인 것으로 파악되기 때문에 2023년의 업황을 긍정적으로 전망하고 있음.
OCI (태양광 에너지 발전 관련주)
태양전지의 핵심소재로 사용되는 폴리실리콘을 생산하는 기업

OCI 기업 개요 및 제품 현황
- 폴리실리콘 및 카본블랙 등의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2023년 5월 1일 오씨아이홀딩스(주)에서 인적분할되어 신규설립 되었으며, 2023년 5월 30일에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하였음.
- 주요 사업은 베이직케미컬 사업(폴리실리콘, 인산, 과산화수소 등), 카본케미컬 사업(카본블랙, 핏치, BTX, 가소제, PA 등), 에너지솔루션 사업(태양광 발전) 등을 영위하고 있음.
- 2023년 6월 일본 기업과 MOU를 체결, 말레이시아 공장에 반도체용 폴리실리콘 반제품을 생산할 계획이며, 2025년 상반기 이차전지용 실리콘 음극재 생산에 필요한 SiH4를 생산할 계획임.

OCI 분기 실적과 재무 확인하기
- 카본케미컬이 전체 매출액의 57%, 베이직 케미컬이 42%를 기록함
- 국내 매출이 2,071억원, 해외 매출이 1,371억원이며, 폴리실리콘, TAR, BTX 등 제품매출이 76%, 상품매출이 18%를 차지하고 있음
- 무기화학 및 유기화학, 카본소재 등 다양한 화학 제품의 생산과 개발을 통해 우리나라 화학산업을 선도해왔으며, 그간 축적해온 기술력과 공정 노하우를 바탕으로 반도체 및 이차전지 소재 사업의 확장을 추진하고 있음.
이 글은 특정 종목을 추천하는 글이 아닌 단순 정보 전달을 위한 글이며, 글에 있는 정보에는 오류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으니 신중히 매매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