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관련주에는 피플바이오, 샤페론, 이연제약, 아이큐어, 유유제약, 국전약품, 고려제약, 환인제약, 보로노이 등이 있습니다.
치매란 후천적으로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기억, 언어, 판단력 등의 여러 영역의 인지기능이 떨어져서 일상생활에 상당한 지장이 나타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치매는 알쯔하이머병이 50-60%로 가장 많고, 혈관성 치매가 20-30%를 차지하며, 나머지는 기타 원인에 의한 치매로 나눌 수 있습니다.
치매는 회복 유무에 따라서 크게 비가역적 치매와 가역적 치매로 분류할 수 있으며, 비가역적 치매의 원인질환은 알쯔하이머병, 루이체 치매, 파킨슨병, 전두측두엽 치매, 헌팅톤병 등이 있습니다.
아래에서 급등이 예상되는 치매 관련주의 주식 정보를 미리 획득하세요!
오늘 최고 조회수 주식정보 글입니다.
확인하셔서 수익을 극대화하세요!
급등하는 주식을 무작정 매수하기보다, 관련 이유를 정확히 알고 어떤 기업인지를 미리 파악한 후에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한 투자의 자세입니다.
지금부터 높은 수익률을 위하여 아래의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피플바이오 (치매 관련주)
변형단백질질환(퇴행성 뇌질환 등) 혈액진단제품 개발, 제조업체.
주력 제품은 대표적인 퇴행성 뇌질환 중 하나인 알츠하이머병 진단에 도움을 주는 체외진단용 의료기기.

피플바이오 기업 개요 및 주요 제품 현황
- 신경퇴행성 질환의 혈액 기반 진단 제품을 개발하는 기업으로 2002년 설립되었으며 기술성 평가를 통한 특례상장으로 2020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되었음.
- 멀티머 검출 시스템이라는 독자적 기술을 기반으로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등 다양한 퇴행성 뇌질환의 원인이 되는 단백질을 검출하는 진단키트를 연구 및 개발하고 있음.
- 2021년 7월 종속기업 (주)뉴로바이오넷 설립을 통해 퇴행성 뇌질환 신약개발사업을 진행 중이며, 천연물 관련 연구와 개발을 진행하는 파마코바이오(주)도 종속기업으로 보유.

피플바이오 분기 실적과 평가
- 2023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0.2% 증가, 영업손실은 30.4% 증가, 당기순손실은 12.1% 증가
- 원천기술인 MDS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알츠하이머병 위험도를 평가하여 진단에 도움을 주는 체외진단용 의료기기를 개발하였음
- 알츠온 검사를 실시하는 병·의원 증가세에도 매출 성장이 지지부진했던 원인이 홍보 및 영업 부족에 있다고 보고 파트너십 구축이나 광고 진행, 영업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음.
샤페론 (치매 관련주)
알츠하이머 치매치료제 ‘누세린(NuCerin)’ 연구 개발

샤페론 기업 프로필
- 2008년 10월 설립되었으며 신약 후보물질을 개발하는 연구개발 전문기업으로 비임상 혹은 임상단계에서 기술이전(O/L) 사업을 영위, 2022년 10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
- 세계 최초 GRCR19 표적 항염증 신약 개발 기술을 기반으로 아토피 피부염, 알츠하이머 치매, 특발성폐섬유증, COVID-19와 같은 염증성 질환의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음.
- 2021년에는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제와 2022년 특발성 폐섬유증 치료제에 대한 기술이전을 완료하였으며 피부뿐 아니라 신경계, 호흡기 염증성 질환 후보물질을 강화하고 있음.

샤페론 최근 실적과 재무 살펴보기
- 2023년 12월 연결기준 매출액 2.1억원, 영업손실 132억원, 당기순손실 124억원을 기록함
- 미국 FDA에서 아토피 치료제에 대한 IND 승인을 받아 임상2상을 진행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알츠하이머 치매 임상 1상을 진행중에 있음
- 치료제 후보군 발굴부터 3상까지의 임상 수행 역량을 보유한 바이오벤처사로 2건의 기술이전을 통해 상업화 역량을 입증하였음.
이연제약 (치매 관련주)
알츠하이머병을 포함한 퇴행성 뇌질환 항체 치료제를 개발 중인 전문기업인 뉴라클사이언스와 치매•신경계질환 등을 타깃으로 한 차세대 항체치료제 공동개발 계약 체결.

이연제약 개요와 매출 구성
- 전문의약품과 원료의약품의 제조 및 판매업 영위 업체로 사업부문은 제네릭의약품, 오리지널의약품, 원료의약품 부문으로 구분됨.
- 전문의약품 중심의 제네릭의약품, CT조영제인 옵티레이 등이 주력인 오리지널의약품, 스트렙토키나제 등으로 구성된 원료의약품이 주요 제품임.
- 혈관 및 신경질환 유전자치료제 시리즈 VM202RY, 항암DNA 백신 VM206RY의 임상시험 진행 중으로 상용화 시, 바이오의약품 사업과 바이오의약품 CMO사업 전개.

이연제약 기업 실적 살펴보기
- 2023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9% 감소, 영업이익은 60.1% 감소, 당기순이익은 51.8% 감소
- 매출은 크게 처방의약품, 오리지널의약품 및 원료의약품에서 안정적으로 확보되고 있음
- 그러나 인건비 빛 이자비용 등의 증가로 수익성은 크게 감소하였음
- 인구고령화 및 만성질환 증가, 소득 증대와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욕구 증가로 고령화 타겟 품목 매출이 증가하고 있으며, 향후 지속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
아이큐어 (치매 관련주)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 패치제인 ‘도네페질 패치제’를 보유.
붙이는 치매치료제 타이완, 태국 기술 수출.

아이큐어 기업 개요를 살펴봅시다.
- 2000년 5월 설립되어, 약물전달시스템에 관한 원천기술을 바탕으로 패치형 의약품 중심의 의약품연구개발 및 의약품과 화장품 OEM, ODM 사업 영위.
- 주요 종속기업으로는 건강기능식품제조업체 (주)바이오로제트, 아이콰(상해)국제유한공사가 있으며 일반의약품 판매사인 (주)아이큐어비앤피 등이 있음.
- 2023년 결산 기준, 전문의약품 110품목, 일반의약품 50품목의 총 160품목 의약품과 총 15개 의약외품의 MFDS 허가 품목을 보유하고 있음.

아이큐어 최근 실적과 재무 확인하기
- 2023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3% 감소, 영업손실은 15.4% 감소, 당기순손실은 24.8% 감소
- 주요 자회사인 바이오로제트 매출이 186억 원으로 전년 대비 24% 하락한 것이 연결 매출 감소의 주요 원인임
- 제약 CDMO 사업은 기존거래처 성장과 함께 대형 제약사를 신규 고객으로 확보함
- 화장픔 ODM 사업은 아모레퍼시픽 및 미국 코스트코에 신규 납품했으며, 마이크로니들 신제형을 출시 예정에 있음.
오늘의 인기글을 알려드립니다.
확인하셔서 수익을 극대화하세요!
유유제약 (치매 관련주)
신약/개량신약/제네릭 의약품을 국내 병,의원에 공급하는 의약품 제조/판매 기업.
말초동맥 순환장애(간헐성 파행증), 치매성 증상을 수반하는 기질성 뇌기능 장애의 치료제 ‘타나민정’ 생산, 판매중.

유유제약 기업 프로필 및 주요 사업
- 1941년 2월 설립되어, 의약품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는 업체로 신약 및 개량신약, 제네릭 의약품을 국내 병, 의원에 공급하고 있음.
- GMP생산시설 확보를 통해 국내 시장에 납품하는 수탁사업과 동남아시아 등에 완제의약품을 수출하는 한편, 자회사를 통해 건강기능식품 사업과 의료기기 사업도 영위 중임.
- 고순도 콜라겐 펩타이드의 염증 억제 기전을 통한 안구건조증 치료제 사업 및 전립성비대증 치료용 복합개량신약이 정부 개발과제로 선정, 개발 속도 가속화 기대.

유유제약 최근 실적
- 2023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2% 감소, 영업이익 흑자전환 영업이익은 판관비 감소로 인해 흑자전환했으며, 영업외 비용 증가로 당기순손실 53억원을 기록했음
- 신제품 도입과 주력제품에 대한 영업 마케팅 활동 강화로 매출 증대를 목표로 하며, 미국과 유럽 출시 목표인 전립선 비대증 및 탈모 치료 개량신약에 집중해 미래 캐시카우 발굴에 속도를 낼 계획임.
국전약품 (치매 관련주)
원료의약품 제조업체. 주요 제품으로 치매 뇌기능 개선제인 콜린알포세레이트를 생산.
치매치료제 개발사 샤페론과 기술이전 계약 체결 완료 및 지분 보유

국전약품 개요 및 주요 매출 확인
- 완제 의약품의 전(前) 단계인 원료의약품을 생산하는 제약사로 대웅제약, 일동제약, 유한양행, GC녹십자 등 유명 제약사들을 고객사로 확보.
- 고함량 활성비타민 제품에 사용되는 벤포티아민, 은행잎추출물, 치매 환자에게 쓰는 콜린알포세레이트, 만성신부전 억제제로 쓰이는 구형흡착탄 등 다양한 원료의약품을 생산함.
- 반도체 생산에 필요한 접착제를 비롯해 5G 통신, 반도체, 디스플레이, 2차전지 전해액 등 반도체용 소재 산업에 진출하며 성장동력 확보 기대.

국전약품 분기 성과 및 재무
- 2023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7.6% 증가, 영업이익은 85.2% 증가, 당기순이익은 47.1% 감소
- 생산성 증가와 원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화성시 향남읍에 위치한 API 합성공장 추가 증설을 진행중에 있으며 2024년 3월 완료 예정임
- 소재기술연구소에서 진행한 프로젝트 중 2품목은 상용화가 확정되어 2023년 하반기부터 소재사업부문의 상용화 매출이 발생할 예정임.
고려제약 (치매 관련주)
중추신경계 치매 치료 예방제인 뉴로메드정 등을 판매중.

고려제약 기업 개요
- 1980년 1월 의약품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설립되었으며, 2000년 12월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어 사업 영위 중임.
- 생산기술별로 신개발 의약품 부문(특허). 전문 치료약 부문(ETC), 일반 대중약(OTC) 부분으로 구분되며 다수의 특허를 보유하고 파이프라인 개발 중.
- 농림축산식품부의 고부가가치 식품 기술 개발 사업에 선정되어 토종 작물인 마치현을 이용해 장 건강 기능성 식품의 원료를 개발하였음.

고려제약 최근 실적과 평가 확인하기
- 2023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7% 증가, 영업이익은 25.8% 증가,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 주력 CNS(중추신경계)매출 공백을 글루콤등 비타민·영양제가 대신했음
- 당기말 총 자산은 897억원
- 전기 말 945억원 대비 5.09% 감소
- 매출은 증가했지만 유동자산은 법인세 등 추징금 납부로 인해 감소
- 비유동 자산은 내용액제 라인 증설 등으로 44억원 증가.
환인제약 (치매 관련주)
알츠하이머형 치매 증상 치료제 ‘환인도네페질정’을 보유.
치매 치료제 ‘WIP-RVX14’ 임상 3상 준비중.

환인제약 기업 프로필 및 사업
- 의약품 제조 및 판매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정신신경과 치료제 부문에서 특화된 기업으로 정신신경과 치료제 부문의 국내 시장점유율 1위 업체임.
- 또한 알코올중독 치료제, 항불안제 시장에서도 각각 약 50%, 20%의 높은 점유율을 확보, 시장 1위를 유지하고 있음.
- 주요 의약품은 정신신경용제 리페리돈, 쿠에타핀 등으로 매출 비중의 약 80%를 차지하며 순환계용제 및 골다공증 치료제 등이 그 뒤를 잇고 있음.

환인제약 분기 실적과 평가 살펴보기
- 2023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5.8% 증가, 영업이익은 1.2% 증가, 당기순이익은 24.5% 증가
- 실적 개선 요인으로는 당기부터 GSK로부터 도입 독점 공급하고 있는 신경계 약물의 매출 증가와 쿠에타핀정 등의 기본 정신신경용제 매출 증가가 꼽힘
- 조현병치료제를 비롯한 정신신경용제는 환자의 증가 등으로 매년 꾸준히 시장이 성장하고 있고 당사의 매출도 증가하고 있음.
보로노이 (치매 관련주)
치매 억제제 개발 추진

보로노이 기업 정보를 알아봅시다.
- 2015년 2월 설립되어 의약품 제조 및 판매업 등을 사업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인천광역시 연수구에 본사를 두고 있음.
- 주요 파이프라인인 돌연변이 타켓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VRN07와 만성염증질환 치료제 VRN02는 현재 임상 1상을 진행 중에 있음.
- 연결대상 종속기업으로 의학 및 약학 연구 개발업을 영위하는 보로노이바이오, 비투에스바이오 등을 보유하였으나 흡수합병한바 VORONOI USA, INC.만을 보유하고 있음.

보로노이 기업 실적 및 재무
- 당기 새로운 기술이전이 존재하지 않고, 기존 기술이전된 파이프라인에서 마일스톤이 달성되지 않음
- 자체 개발중인 비소세포폐암 치료제(VRN11) 임상관련비용의 증가 등으로 인하여 경상연구개발비용과 관계회사 영업권 손상을 인식하여 손실이 확대됨
- 비소세포폐암 치료제(VRN11)은 자체 개발 후 2023년 10월과 2024년 01월 각각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 및 대만 식품의약품청로부터 임상 1/1b상 승인을 받아 임상을 진행 중.
이 글은 특정 종목을 추천하는 글이 아닌 단순 정보 전달을 위한 글이며, 글에 있는 정보에는 오류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으니 신중히 매매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