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 대형주에는 삼성바이오로직스, SK바이오사이언스, 유한양행, 한미약품, SK바이오팜, 셀트리온제약, 대웅제약, 녹십자 등이 있습니다.
제약 관련주 중 시가총액이 상대적으로 큰 대형주를 정리하였습니다. 대형주는 거래대금이 많고 안정적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기관이나 외국인투자자가 선호하는 주식입니다.
대형주는 이미 성장한 기업이고, 시가총액이 크므로 급등을 기대하기는 어렵지만, 급락의 우려도 적어 변동성이 크지 않고 안정적인 것이 특징입니다.
아래에서 주가 상승 확률이 높은 제약 대형주의 주식 정보를 확인하세요!
오늘 최고 조회수 주식정보 글입니다.
확인하셔서 수익을 극대화하세요!
급등하는 주식을 무작정 매수하기보다, 관련 이유를 정확히 알고 어떤 기업인지를 파악한 후에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한 투자의 자세입니다.
성공적인 투자를 위하여 아래에서 제약 대형주 8종목의 관련 이유와 기업소개, 기업실적을 꼼꼼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제약 대형주)
국내외 제약회사의 첨단 바이오의약품을 위탁 생산하는 CMO사업과 세포주 개발 및 공정개발 서비스를 제공하는 CDO사업을 영위하는 업체

주식 기업 소개
- 바이오의약품 개발 및 상업화를 위해 삼성그룹의 바이오 사업 지주회사로 2011년 4월 삼성물산 및 삼성전자 자회사로 설립되어 사업 영위 중임.
- 미국 소재 바이오의약품 개발 업체인 Samsung Biologics America, Inc.를 종속기업으로 두고 있으며, CDMO 사업을 통해 매출의 전량이 발생함.
- 인천경제자유구역(송도지구)에 상업제품 생산설비 36만리터와 임상용 생산설비 4천리터로 총 36.4만리터의 생산능력을 확보한 세계 1위의 바이오 CMO 기업.
주식 기업 실적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1.2% 증가, 영업이익은 64.2% 증가, 당기순이익은 36.2% 증가
- 36.4만리터의 Capacity를 확보하여 매출이 크게 성장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비용도 크게 증가하고 있으나 높은 매출로 수익성을 유지하고 있음
- 세포/유전자치료제와 관련하여 기초 경쟁력을 확보할 목적으로 기술 동향, 시장성, 수익성 등을 전반적으로 고려해 건설, M&A 포함 다양한 옵션을 고려하고 있음.
SK바이오사이언스 (제약 대형주)
백신/바이오의약품의 연구개발, 생산, 판매, 관련 지식재산권의 임대 및 CDMO/CMO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는 기업

주식 기업 소개
- 2018년 7월 에스케이케미칼(주)의 VAX 사업부문이 물적분할되어 설립되었으며, 백신 및 바이오의약품의 연구개발, 생산 및 유통업을 주력으로 영위함.
- 세계 최초 세포배양4가 독감백신 스카이셀플루4가, 세계 두번째 대상포진백신 스카이조스터, 국내 두번째로 개발한 수두백신 스카이바리셀라 등의 자체개발 백신을 보유.
- 백신 공동구매 컨소시엄인 COVAX의 백신개발 및 생산사업자로 선정되었으며, COVID-19 합성항원 백신 2종과 차세대 폐렴구균 백신 등을 개발 중.
주식 기업 실적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33.8% 감소, 영업이익은 51.7% 감소, 당기순이익은 44.7% 감소
- 백신 사업 인프라 구축과 R&D에 투자해왔고, 2012년에는 경북 안동에 세계 최고 수준의 백신 공장 L하우스를 완공하였음
- COVID-19에 따른 백신 위탁 생산 및 COVID-19 백신 ‘GBP510’은 2021년 8월 식약처로부터 제3상 임상시험계획(IND)의 승인받아 임상실험 중임.
유한양행 (제약 대형주)
약품사업(고지혈증치료제인 아토르바, 항생제인 메로펜, 비타민제인 삐콤씨 등), 생활건강 사업(유한락스 등), 해외사업(유한화학에서 생산된 에이즈치료제, C형간염치료제, 항생제 등의 원료의약품을 국내외에 공급) 등을 영위하고 있는 제약 업체

주식 기업 소개
- 의약품, 화학약품, 공업약품, 수의약품, 생활용품 등의 제조 및 매매를 영위하는 기업으로 주요 제품은 아토르바, 삐콤씨 및 유한락스, 바이오 오일 등이 있음.
- 아토르바, 메로펜, 프리베나 등 오리지널 의약품을 도입 판매하는 한편 다국적 제약사 길리어드의 C형 간염 치료제에 들어가는 원료를 수출하였음.
- 2016년 10월 퇴행성 디스크 치료제의 치료 효과가 기대에 못 미침에 따라 임상을 중단하였으나 제넥신, 오스코텍 등과의 파이프라인 개발로 R&D투자 확대.
주식 기업 실적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9% 증가, 영업이익은 57.8% 감소, 당기순이익은 32.7% 감소
- 매출 확대에도 불구하고 원가율 상승과 판관비 증가의 영향으로 수익성이 악화됨
- 2021년 7월 국내에 출시한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신약 ‘렉라자’를 성공적으로 시장에 안착시킴
오늘의 인기글을 알려드립니다.
확인하셔서 수익을 극대화하세요!
한미약품 (제약 대형주)
의약품 제조, 판매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주요 제품으로는 복합고혈압치료제 “아모잘탄”, 복합고지혈증치료제 “로수젯”, 역류성식도염치료제 “에소메졸”이 있음

주식 기업 소개
- 의약품 제조 및 판매를 주 사업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주요 제품으로는 고혈압치료제(아모디핀), 복합고혈압치료제(아모잘탄) 등이 있음.
- 원료의약품 제조 및 판매업을 영위하는 한미정밀화학(주) 및 의약품 제조 및 판매업 영위 업체 북경한미약품유한공사 등을 주요 자회사로 보유하고 있음.
- 롤론티스 및 pan-HER은 스펙트럼과 LAPS-GLP/GCG은 MSD사, ORASCOVERY™은 아테넥스사와 라이선스-아웃 계약을 체결하는 등 다수의 파이프라인 보유.
주식 기업 실적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5% 증가, 영업이익은 44.2% 증가, 당기순이익은 27.8% 증가
- 복합고지혈증치료제 ‘로수젯’, 복합고혈압치료제 ‘아모잘탄’, 역류성식도염치료제 ‘에소메졸’ 등이 주요제품으로 지속적인 수요에 따라 매출이 증가하고 있음
- 해외쪽은 복합고혈압치료제 아모잘탄을 출시할 예정으로 북경한미약품유한공사는 한국 한미약품 주식회사와 R&D네트워크 시너지를 통해 글로벌 신약 개발을 진행중임.
SK바이오팜 (제약 대형주)
신경질환 및 정신질환을 포함한 중추신경 관련 질환에 차별화된 파이프라인을 보유한 혁신신약 개발 업체로 다수의 신약 후보물질을 연구하고 있음

주식 기업 소개
- 2011년 4월 SK(주)의 Life Science 사업부문이 물적분할되어 신설된 법인으로 신약의 연구개발 등을 주된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 자체개발한 신약을 미국 FDA(식품의약국)에서 직접 허가를 받아 시장에 판매하는 기업으로 국내 제약사 최초로 미FDA의 IND 독자적으로 획득.
- 종속기업으로는 미국법인의 SK Life Science, Inc.와 중국법인의 SK생물의약과기(상해)유한공사를 보유하고 있음.
주식 기업 실적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4% 감소, 영업손실은 121.2% 증가,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 동사는 글로벌 시장을 타겟으로 혁신 신약 개발에 앞장서 왔으며 글로벌 종합 제약사로 발돋움을 계획하고있음
- 동사가 자체 개발한 뇌전증 치료 신약 ‘세노바메이트’를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등 ‘유럽 5대 경제대국’에서 모두 출시하는데 성공하여 매출 성장이 기대됨.
셀트리온제약 (제약 대형주)
제네릭의약품 제조사로 셀트리온이 제조한 바이오시밀러인 램시마(자가면역질환), 트록시마(항악성종양제), 허쥬마(항악성종양제) 등의 국내유통을 담당하고 있음

주식 기업 소개
- 2000년 11월 케미칼의약품의 개발,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2006년 2월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어 사업 영위 중임.
- 주력제품인 간질화 치료제 고덱스와 함께 최대주주 (주)셀트리온의 바이오시밀러 국내 독점판매권 및 유통권을 확보하여 램시마, 트룩시마, 허쥬마 등을 판매하고 있음.
- 2020년 11월 신장이식 후 거부반응억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Azathioprine, 2021년 1월 고콜레스테롤혈증 치료제 Pitavastatin 제네릭 제품 출시.
주식 기업 실적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8.3% 증가, 영업이익은 18.3% 감소, 당기순이익은 32.9% 감소
- 꾸준한 해외진출 노력과 지속적인 제품 수요로 매출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나 원가와 판관비가 크게 증가하면서 영업이익이 감소하고 있음
- 영국 의약품건강제품규제청(MHRA)으로부터 EU-GMP 승인을 받는 등 의약품 시장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활동을 꾸준히 전개하고 있음.
대웅제약 (제약 대형주)
의약품 생산 및 판매사업을 영위하는 제약업체로 주요 제품으로는 나보타(보툴리눔 톡신 제제), 우루사(피로회복, 간장해독), 올메텍(고혈압치료제), 임팩타민(종합비타민)이 있음

주식 기업 소개
- 2002년 10월 대웅이 사업부문을 인적분할하여 설립한 업체로 의약품 생산 및 판매를 주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주요 제품은 우루사, 임팩타민, 올메텍 등임.
- 2015년 한올바이오파마 지분 인수를 통해 종속회사로 편입, 파이프라인을 보강함에 따라 항생제, 주사제 생산라인 확대 효과 및 연구개발력이 보강되었음.
- 2022년 펙수프라잔 출시 및 나보타 유럽 출시, 2022년 말 펙수프라잔 위염 적응증 추가, 2023년 SGLT2 당뇨 신약 출시 등 지속적인 신약 출시가 예정되어 있음.
주식 기업 실적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2% 증가, 영업이익은 30%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 건강기능식품 중심으로 재편되는 시장에 대응해 간 건강 전문 브랜드를 강화하고 병원 채널용 브랜드를 런칭하는 등 사업을 확장하여 매출이 증가하였음
- 동사는 글로벌 블록버스터 신약 개발 임상및 다국가 허가 개발 가속화와 함께 오픈 콜라보레이션 기반 전략적 제휴, 투자 유치 등 다양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음.
녹십자 (제약 대형주)
전문의약품, OTC제제 등의 의약품을 제조 및 판매하고 있는 기업으로 혈액제제류 및 백신제제 제품을 보유하고 있음

주식 기업 소개
- 혈액제제와 백신 중심의 사업을 담당하는 녹십자그룹의 제약회사로 수출 시장은 백신 중심의 성장을 보이는 한편 혈액제제 시장 또한 수출 시장 확대 중.
- 2015년 11월 4가 독감백신을 개발, 식약처에서 판매를 승인 받아 국내 시장에서 경쟁력을 공고히 하는 한편 2016년 3월 WHO에 대규모 독감백신 수주 확보.
- 2016년 수출 물량 증가와 북미시장 진출을 위해 국내 혈액제제 생산시설을 2배로 증설하여 연간 최대 140만L의 혈장처리능력을 보유하였고 추가 증설로 270만L 확보.
주식 기업 실적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4.5% 증가, 영업이익은 18.4% 증가, 당기순이익은 20.5% 감소
- 혈액제제와 백신제제 이외에도 Recombinant제제의 주요 프로젝트인 헌터증후군 치료제 ‘헌터라제’는 중국과 일본에서 허가를 획득하였음
- 독감백신의 경우 기존 3가백신에서 4가백신으로의 전환 트렌드에 발 빠른 대응으로 매출 및 수익 증진에 기여하고 있음.
이 글은 특정 종목을 추천하는 글이 아닌 단순 정보 전달을 위한 글이며, 글에 있는 정보에는 오류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으니 신중히 매매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