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업체 주식에는 대웅제약, 녹십자, 유한양행, 한미약품, 종근당, 셀트리온제약, SK바이오팜, SK바이오사이언스 등이 있습니다.
제약산업은 허가된 의약품을 개발, 생산, 판매하는 산업으로 제약은 크게 컴파운드(compound) 디자인, 컴파운드 대량합성, 완제의약품 생산의 3분야가 있습니다.
아래에서 급등이 예상되는 제약업체 주식의 주식 정보를 무료로 확인하세요!
오늘 최고 조회수 주식정보 글입니다.
확인하셔서 수익을 극대화하세요!
급등하는 주식을 무작정 매수하기보다, 관련 이유를 정확히 알고 어떤 기업인지를 미리 파악한 후에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한 투자의 자세입니다.
지금부터 글을 꼼꼼하게 읽으셔야 수익 낼 확률을 올릴 수 있습니다.
대웅제약 (제약 주식)
의약품 생산 및 판매사업을 영위하는 제약업체.
주요 제품으로는 나보타(보툴리눔 톡신 제제), 우루사(피로회복, 간장해독), 올메텍(고혈압치료제), 가스모틴(기능성소화제) 등을 보유.

대웅제약 기업 정보 확인
- 2002년 10월 대웅이 사업부문을 인적분할하여 설립한 업체로 의약품 생산 및 판매를 주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주요 제품은 우루사, 임팩타민, 올메텍 등임.
- 2015년 한올바이오파마 지분 인수를 통해 종속회사로 편입, 파이프라인을 보강함에 따라 항생제, 주사제 생산라인 확대 효과 및 연구개발력이 보강되었음.
- 2022년 펙수프라잔 출시 및 나보타 유럽 출시, 2022년 말 펙수프라잔 위염 적응증 추가, 2023년 SGLT-2 당뇨 신약 출시 등 지속적인 신약 출시가 진행되었음.

대웅제약 최근 실적과 재무 정보
- 2023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4% 증가, 영업이익은 28% 증가, 당기순이익은 188.2% 증가
- 혁신신약(펙수클루, 엔블로)의 출시 및 매출증대, 나보타 글로벌 시장 확대, 글로벌 기술수출 계약 등이 수익성 개선을 견인하였음
- 신속한 글로벌 품목허가와 동시다발적 신약 라인업 확충, AI를 도입한 4단계 스마트팩토리의 생산 우수성을 기반으로 성장하고 있음.
녹십자 (제약 주식)
녹십자그룹 계열의 의약품 제조, 판매업체.
전문의약품에서부터 일반의약품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제품 라인을 보유.

녹십자 기업 개요와 주요 매출
- 혈액제제와 백신 중심의 사업을 담당하는 녹십자그룹의 제약회사로 수출 시장은 백신 중심의 성장을 보이는 한편 혈액제제 시장 또한 수출 시장 확대 중.
- 2015년 11월 4가 독감백신을 개발, 식약처에서 판매를 승인 받아 국내 시장에서 경쟁력을 공고히 하는 한편 2016년 3월 WHO에 대규모 독감백신 수주 확보.
- 2016년 수출 물량 증가와 북미시장 진출을 위해 국내 혈액제제 생산시설을 2배로 증설하여 연간 최대 140만L의 혈장처리능력을 보유하였고 추가 증설로 270만L 확보.

녹십자 최근 실적 확인하기
- 2023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9% 감소, 영업이익은 57.6% 감소 코로나 효과 감소 및 수출 부진에 따른 매출 감소 및 ㈜지씨셀, ㈜녹십자엠에스 등 주요 자회사들의 매출 감소에 따른 실적 악화로 영업이익이 감소
- 2023년 미국 FDA로부터 자사의 혈액제제 ‘ALYGLO(알리글로)’의 품목 허가를 획득했음
- 글로벌 최대 시장인 미국에 본격 진출.
유한양행 (제약 주식)
약품사업(진해거담제인 코푸시럽, 고혈압치료제인 트윈스타, 고지혈증치료제인 로수바미브 등), 생활유통 사업(유한락스 등), 해외사업(원료의약품을 국내외에 공급) 등을 영위.

유한양행 기업 프로필과 매출 요약
- 의약품, 화학약품, 공업약품, 수의약품, 생활용품 등의 제조 및 매매를 영위하는 기업으로 주요 제품은 아토르바, 삐콤씨 및 유한락스, 바이오 오일 등이 있음.
- 아토르바, 메로펜, 프리베나 등 오리지널 의약품을 도입 판매하는 한편 다국적 제약사 길리어드의 C형 간염 치료제에 들어가는 원료를 수출하였음.
- 2016년 10월 퇴행성 디스크 치료제의 치료 효과가 기대에 못 미침에 따라 임상을 중단하였으나 제넥신, 오스코텍 등과의 파이프라인 개발로 R&D투자 확대.

유한양행 기업 실적
- 2023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7% 증가, 영업이익은 57.5% 증가, 당기순이익은 43% 증가
- 영업이익은 제품 매출 증가와 라이선스 매출 증가, 원가 개선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으로 개선됐음
- R&D 부문에서는 지난 9년 간의 노력의 결과로, 신약 렉라자가 2023년 6월말 1차치료제로 국내 허가를 취득했음
- 병용요법 글로벌 임상도 진행 중임.
오늘의 인기글을 알려드립니다.
확인하셔서 수익을 극대화하세요!
한미약품 (제약 주식)
주요 제품으로는 복합고혈압치료제 “아모잘탄”, 복합고지혈증치료제 “로수젯”, 역류성식도염치료제 “에소메졸”, 발기부전치료제 “팔팔” 등이 있음.

한미약품 기업 프로필과 매출 구성
- 의약품 제조 및 판매를 주 사업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주요 제품으로는 고혈압치료제(아모디핀), 복합고혈압치료제(아모잘탄) 등이 있음.
- 원료의약품 제조 및 판매업을 영위하는 한미정밀화학(주) 및 의약품 제조 및 판매업 영위 업체 북경한미약품유한공사 등을 주요 자회사로 보유하고 있음.
- 롤론티스 및 pan-HER은 스펙트럼과 LAPS-GLP/GCG은 MSD사, ORASCOVERY™은 아테넥스사와 라이선스-아웃 계약을 체결하는 등 다수의 파이프라인 보유.

한미약품 최근 실적 살펴보기
- 2023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2% 증가, 영업이익은 39.6% 증가, 당기순이익은 76.6% 증가
- 주요 제품인 복합고지혈증치료제 ‘로수젯’, 복합고혈압치료제 ‘아모잘탄’, 역류성식도염치료제 ‘에소메졸’ 등으로 매출을 꾸준히 성장시키고 있음
- 2022년에 복합고혈압치료제 ‘메이야핑’ 을 출시하였으며, 북경한미약품유한공사는 R&D네트워크 시너지를 통해 글로벌 신약 개발에도 앞장서고자 함.
종근당 (제약 주식)
당뇨병치료제 자누비아,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케이캡, 고지혈증 치료제 아토젯, 뇌혈관질환치료제 글리아티린, 골다공증 치료제 프롤리아 등 다양한 의약품을 제조 및 판매하는 제약업체.

종근당 기업 프로필
- 2013년 11월 투자사업부문을 담당하는 존속법인 (주)종근당홀딩스와 의약품사업부문을 담당하는 신설회사인 동사로 인적분할되어 설립되었음.
- 동사의 주요 제품은 완제 및 원료의약품으로 고혈압 치료제인 딜라트렌, 고지혈증 치료제 리피로우, 당뇨병 치료제 자누비아 등이 있음.
- 신약 및 개량신약과 제네릭 개발에 투자를 지속하여 개량신약인 듀비메트와 칸타벨이 임상 3상을 완료하고 출시되었으며 다수의 파이프라인이 진행 중에 있음.

종근당 분기 실적 정보
- 2023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2.2% 증가, 영업이익은 124.4% 증가, 당기순이익은 162.5% 증가
- 텔미누보, 타크로벨 등 기존제품 매출 증대와 엑시글루에스정, 루센비에스주 등 신제품의 성장이 꾸준한 수익 성장을 가져오고 있음
- 동사는 신약 및 개량신약, 제네릭 의약품에 대한 우수한 개발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연간 매출액 대비 약 9~11% 가량의 R&D 투자를 집행하고 있음.
셀트리온제약 (제약 주식)
정제, 경질캡슐제 등을 생산 및 판매하는 의약품 제조업체.

셀트리온제약 기업 정보 및 사업 확인
- 2000년 11월 케미칼의약품의 개발,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2006년 2월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어 사업 영위 중임.
- 주력제품인 간질화 치료제 고덱스와 함께 최대주주 (주)셀트리온의 바이오시밀러 국내 독점판매권 및 유통권을 확보하여 램시마, 트룩시마, 허쥬마 등을 판매하고 있음.
- 2020년 11월 신장이식 후 거부반응억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Azathioprine, 2021년 1월 고콜레스테롤혈증 치료제 Pitavastatin 제네릭 제품 출시.

셀트리온제약 기업 실적
- 2023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0.7% 증가, 영업이익은 5.5% 감소, 당기순이익은 18.1% 감소
- 간장용제 고덱스 포함 케미컬의약품이 2,068억 원의 매출을 달성하였으며 램시마 외 5종의 바이오시밀러 매출은 약 733억원을 달성하였음
- 동사는 청주공장 내 피하주사(SC) 제형 바이오의약품 생산을 위한 프리필드시린지(PFS) 생산라인을 갖추고 바이오의약품 생산 대응력을 겸비하고 있음.
SK바이오팜 (제약 주식)
CNS(중추신경계) 질환 분야, 특히 뇌전증 질환 치료를 위한 혁신신약 개발에 집중.
신경질환 및 정신질환을 포함한 중추신경 관련 질환에 차별화된 파이프라인을 구축.

SK바이오팜 기업 프로필 확인
- 2011년 4월 SK(주)의 Life Science 사업부문이 물적분할되어 신설된 법인으로 신약의 연구개발 등을 주된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 자체개발한 신약을 미국 FDA(식품의약국)에서 직접 허가를 받아 시장에 판매하는 기업으로 국내 제약사 최초로 미FDA의 IND 독자적으로 획득.
- 종속기업으로는 미국법인의 SK Life Science, Inc.와 중국법인의 SK생물의약과기(상해)유한공사 등을 보유하고 있음.

SK바이오팜 분기 실적과 재무 확인하기
- 2023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4.2% 증가, 영업손실은 71.4%감소, 당기순손실은 74.6% 감소
- 동사가 자체 개발한 뇌전증 치료 신약 ‘세노바메이트’를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등 ‘유럽 5대 경제대국’에서 모두 출시하는데 성공하여 매출 성장이 기대됨
- 신약 매출로 매출총이익률이 높고, 고정비(인건비, 연구개발비)가 높은 수익 구조로 흑자 전환 이후 빠른 실적 성장이 기대됨.
SK바이오사이언스 (제약 주식)
백신/바이오의약품의 연구개발, 생산, 판매, 관련된 지식재산권의 임대 및 CDMO/CMO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주요 백신으로는 독감(스카이셀플루), 대상포진(스카이조스터), 수두(스카이바리셀라) 등이 있음.

SK바이오사이언스 기업 프로필과 매출 요약
- 2018년 7월 에스케이케미칼(주)의 VAX 사업부문이 물적분할되어 설립되었으며, 백신 및 바이오의약품의 연구개발, 생산 및 유통업을 주력으로 영위함.
- 세계 최초 세포배양4가 독감백신 스카이셀플루4가, 세계 두번째 대상포진백신 스카이조스터, 국내 두번째로 개발한 수두백신 스카이바리셀라 등의 자체개발 백신을 보유.
- 백신 공동구매 컨소시엄인 COVAX의 백신개발 및 생산사업자로 선정되었으며, COVID-19 합성항원 백신 2종과 차세대 폐렴구균 백신 등을 개발 중.

SK바이오사이언스 분기 성과 및 재무
- 2023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9.1%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은 81.8% 감소
- 백신 사업 인프라 구축과 R&D에 투자해왔고, 2012년에는 경북 안동에 세계 최고 수준의 백신 공장 L하우스를 완공하였음
- 백신 파이프라인 연구개발, 차세대 폐렴구균백신 생산을 위한 안동 L House 증설, 신규 M&A 대상 발굴 등 다양한 성장 동력을 확보 중.
이 글은 특정 종목을 추천하는 글이 아닌 단순 정보 전달을 위한 글이며, 글에 있는 정보에는 오류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으니 신중히 매매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