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멘트 레미콘 관련 주식에는 고려시멘트, 삼표시멘트, 성신양회, 쌍용C&E, 한일시멘트, 모헨즈, 한일현대시멘트, 유니온, 보광산업, 유진기업, 부산산업 등이 있습니다.
시멘트는 물과 반죽했을 때 경화하는 건축용 자재로 일반적으로 시멘트라 하면 포틀랜드시멘트(Portland Cement)를 의미합니다.
포틀랜드시멘트는 석회, 실리카, 알루미나 및 산화철을 함유하는 원료를 고온의 킬른(구워내기 위한 가마)에서 소성시켜 클링커(시멘트의 원료가 되는 불에 탄 덩어리)라는 새로운 광물을 생산하고 여기에 응결지연제인 석고를 혼합하여 미분쇄하여 생산됩니다.
레미콘은 Ready Mixed Concrete의 약자로 트럭 믹서(레미콘 트럭)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제조공장으로부터 공사현장까지 운반되는 굳어지지 않은 유연한 상태의 콘크리트(시멘트, 물, 모래, 자갈 등을 섞은 건축 재료)를 말합니다.
아래에서 급등이 예상되는 시멘트 레미콘 관련 주식의 주식 정보를 무료로 확인하세요!
오늘 최고 조회수 주식정보 글입니다.
확인하셔서 수익을 극대화하세요!
급등하는 주식을 무작정 매수하기보다, 관련 이유를 정확히 알고 어떤 기업인지를 미리 파악한 후에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한 투자의 자세입니다.
지금부터 성공적인 투자를 위하여 아래의 내용을 꼼꼼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고려시멘트 (시멘트 관련주)
건축, 토목에 사용되는 시멘트 등을 생산/판매하는 시멘트 전문업체.

고려시멘트 기업 개요와 매출 요약
- 동사는 2012년 7월 설립되어 시멘트 제조 및 유통업을 주력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2017년 5월 엔에이치 SPAC에 합병되며 코스닥 시장에 상장하였음.
- 매출의 대부분이 내수 판매를 통해 발생하며 원재료인 유연탄, 수재슬래그, 석고 등을 (주)태화홀딩스, (주)쌍용씨앤이, (주)대한시멘트 등에서 안정적으로 조달하고 있음.
- 전남 장성군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2023년 1월 목포시멘트 공장을 준공하여 동월 본격적인 가동을 시작하였음.

고려시멘트 기업 실적 및 재무 확인하기
- 2023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27.7% 감소, 영업손실은 36.3% 증가, 당기순손실은 104.1% 증가
- 당기 중 장성공장 생산 중단 및 목포공장 이전으로 일시적으로 매출 감소 했으나, 2024년에는 목포공장 증설효과로 매출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영업손실은 목포공장 이전으로 인한 매출 감소 및 유연탄 등 원부재료 원가상승으로 전년대비 45억원 감소한 -158억원을 시현했음.
삼표시멘트 (시멘트 관련주)
삼표그룹 계열사로 시멘트 및 2차 제품의 제조,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영위.

삼표시멘트 회사 프로필 확인하기
- 시멘트 제조 및 판매를 주력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강원도 삼척시에 본사를 두고, 전국 20개 분공장 및 사업소를 운영하고 있음.
- 석회석 광업 업체인 삼표자원개발, 석유 및 천연가스 업체인 골든자원개발, 서비스 업체인 삼표에스앤씨 등을 종속기업을 보유.
- 국내 시멘트 산업은 상위 7개 업체가 전체 시장의 90% 정도를 차지하는 과점체제를 형성하고 있으며, 동사는 4위의 시장점유율을 보임.

삼표시멘트 기업 실적 살펴보기
- 2024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3% 감소, 영업이익은 120.7%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 공사비 증가로 인한 건설 경기 부진의 본격화로 인해 시멘트 매출 감소
- 다만 시멘트 판매 단가가 상승하면서 영업이익은 크게 성장
- 연간 60억 예산의 시멘트 전용선의 취역으로, 하역 작업시간 절반 감소 및 부두 혼잡 문제, 일기 변수 문제 대응력 상향.
성신양회 (시멘트 관련주)
주요상표로 천마표시멘트, 성신레미콘 등의 시멘트 등을 생산, 판매하는 업체.
레미콘 사업을 영위중인 성신레미컨(주)을 종속회사로 보유.

성신양회 정보 확인하기
- 1967년 설립되어 시멘트 및 레미콘 제조업을 주력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시멘트 부문 국내 3위의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음.
- 시멘트는 단양, 부강공장 외 전국 6개 출하공장과 4개 영업소로 구성된 유통망을 통해 소비자 및 각 공사 현장에 공급되고 있음.
- 국내 시멘트 산업은 상위 7개 업체가 전체 시장의 90% 정도를 차지하는 과점체제를 형성하고 있음.

성신양회 기업 실적을 참고하세요.
- 2023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 증가, 영업이익은 3898.5%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 매출이 견조한 성장을 보인데 반해 매출원가가 소폭 증가하였고, 판관비는 소폭 감소하는 등 효율적인 비용 집행을 이뤄낸 결과 영업이익이 증가함
- 2024년엔 건설 수주와 건축 착공 면적 등 건설 경기 선행 지표의 부진, 전반적인 건설 경기의 침체가 이어져 수요가 전년 실적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됨.
쌍용C&E (시멘트 관련주)
쌍용계열의 시멘트사업 영위 업체로 국내 시멘트 업계 시장점유율 상위 업체.
레미콘사업을 영위하는 쌍용레미콘의 최대주주임.
강원 동해와 영월 등에 시멘트 공장이 위치.

쌍용C&E 주요 사업 정리
- 시멘트 및 레미콘 제조업을 주력으로 영위하며, 종속기업들을 통해 환경, 석회석, 해운, 골재, 임대 등 다각화된 사업을 영위함.
- 국내 시멘트 시장은 구조조정을 통해 동사를 비롯하여 삼표시멘트, 성신양회, 한라시멘트, 한일시멘트 등 8개 업체에 의한 과점체제를 보이고 있음.
- 쌍용기초소재, 한국기초소재, 한국로지스틱스, 쌍용로지스틱스, 대한시멘트, 대한슬래그, 그린에코솔루션 등을 종속기업으로 보유하고 있음.

쌍용C&E 최근 실적 살펴보기
- 2023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9.6% 증가, 영업이익은 4.1% 감소, 당기순이익은 72% 증가
- 시멘트 내수 판매량 증가와 판매가격 추가 인상으로 매출액은 전년대비 증가하였음
- 원자잿값 불안정성 지속, 연이은 전력요금 인상, 순환자원 처리단가 하락으로 영업이익은 감소함
- 2023.09.25 쌍용레미콘 주식을 매각함에 따라 레미콘사업이 사업부문에서 제외됨
- 쌍용레미콘 처분 이익으로 당기순이익은 크게 증가함.
오늘의 인기글을 알려드립니다.
확인하셔서 수익을 극대화하세요!
한일시멘트 (시멘트 관련주)
시멘트 제조 및 시멘트 2차 제품(레미콘, 레미탈) 판매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주요 제품으로 시멘트, 특수시멘트, 레미콘, 레미탈, 고강도 혼합재 등을 보유.

한일시멘트 회사 프로필 확인하기
- 동사는 2018년 7월 한일홀딩스(구 한일시멘트)의 시멘트 및 레미콘 제조사업 부문이 인적분할되어 설립되었음.
- 동사의 사업부문은 몰탈, 시멘트, 레미콘 제조로 구분되며, 몰탈 부문에서 국내 시장점유율 1위를 확보하고 있음.
- 시멘트 부문은 단양, 영월에 포틀랜드시멘트 생산공장 3곳, 평택, 당진에 슬래그, 시멘트 생산공장 2곳, 전국 각지에 20개의 출하공장 및 저장소를 운영.

한일시멘트 기업 실적 및 평가 살펴보기
- 2023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1% 증가, 영업이익은 108.9% 증가, 당기순이익은 116% 증가
- 당기 포틀랜드시멘트의 가격은 내수가격을 기준으로 전년대비 15.3% 상승하였고,레미콘의 가격은 18.3% 상승하였으며, 레미탈의 가격은 23.6% 상승함
- 매출비중은 연결기준 시멘트 약 49%, 레미탈 약 27%, 레미콘 약 17% 그리고 기타 약 8%로 이루어져 있음.
모헨즈 (레미콘 관련주)
충남지역 기반의 레미콘 사업 영위 업체.
레미콘 제조 및 판매업체 덕원산업(주)을 종속회사로 보유.

모헨즈 기업 정보와 주요 사업을 알아봅시다.
- 1970년 11월 레미콘의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1989년 1월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었음.
- 충남 천안시에 본사 및 공장을 두고 있으며, 그 밖에 당진공장, 서천공장, 보령공장, 대전공장을 운영 중임. 레미콘 제조업체인 덕원산업을 종속기업으로 보유.
- 국내 레미콘 시장은 유진기업, 삼표산업, 한일시멘트, 쌍용레미콘 등이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상위 2개 업체인 유진기업과 삼표산업의 점유율이 확대되는 추세임.

모헨즈 기업 실적을 확인하세요.
- 2023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3.6% 증가, 영업이익은 240.9% 증가, 당기순이익은 343% 증가
- 연결기준 매출액 중 레미콘부문 매출액의 총 96%를 차지하고 있으며, 용접부문 매출 등이 4%를 차지하고 있음
- 동사가 속한 천안지역은 천안, 아산 외곽 물량은 감소하였지만 천안아산역, 아산 탕정지구, 두정지구의 영업에 집중하여 실적이 증가함.
한일현대시멘트 (시멘트 관련주)
시멘트 제조 및 판매업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는 업체.
강원도 영월과 충북 단양 등 총 12곳에 공장을 두고 있음.

한일현대시멘트 기업 개요와 주요 매출 구성
- 시멘트 제조업을 주력사업으로 영위하며, 서울시 서초구 효령로에 본사를, 강원도 영월군 및 충북 단양군 등에 11개의 공장과 지점을 두고 있음.
- 전체 매출의 대부분이 시멘트 판매를 통해 발생하고 있으며, 주로 건설용 자재로 납품되는 바 전방 건설경기의 영향을 크게 받음.
- 2017년 7월 사모투자(PE)운용사인 LK투자파트너스를 통해 한일홀딩스(주)(구 한일시멘트(주))에 인수되었음.

한일현대시멘트 분기 실적과 평가
- 2023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7.1% 증가, 영업이익은 36.5% 증가, 당기순이익은 1.8% 감소
- 전력비 등 제조원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시멘트 판매단가 상승, 원가율 개선, 판관비 감소 노력으로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증가하였음
- 다만 2023년도에는 건설투자 감소 등 경기악화에 따라 전년대비 시멘트 출하량이 약 4% 감소하였으며, 2024년 건설경기는 지속적인 하락세가 예상되는 상황임.
유니온 (시멘트 관련주)
백시멘트, 알루미나시멘트 등 내화재, 터널시공자재 등 특수시멘트를 판매하는 시멘트 전문업체.

유니온 기업 프로필과 매출 현황
- 백시멘트, 알루미나시멘트 등 특수 시멘트의 생산 및 판매업과 폐촉매로부터 추출한 몰리브덴 등 희유금속 판매업을 주력사업으로 영위함.
- 서울시 중구 소공로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충북 청주공장에서 백시멘트, 타일시멘트, 알루미나시멘트를 생산, 경북 포항공장에서 알루미나 시멘트를 생산함.
- 페라이트 및 세라믹 제조업체인 유니온머티리얼(주), 호환성 공구 제조업체인 유니온툴텍공구유한공사 등을 종속기업으로 두고 있음.

유니온 분기 실적과 평가 살펴보기
- 2023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4%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 알루미나시멘트 등 내화재료부문은 수출 비중이 높아 환율 상승의 긍정적인 영향을 받았지만 일부 수익성이 떨어지는 품목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영업이익이 악화되었음
- 투자주식 OCI홀딩스, OCI(주) 주가의 상승으로 당기순이익은 증가함
- 동사는 지속적인 판매가 인상을 추진하고 있으며, 제조원가 절감 방안을 다각도로 모색 중.
보광산업 (레미콘 관련주)
대구/경북지역의 골재생산 전문 업체.
건설의 근간이 되는 콘크리트용 부순골재(부순 굵은골재, 부순 잔골재)와 도로포장공사용 혼합골재(40mm이하), 재활용 아스콘, 일반 아스콘, 레미콘 등을 생산, 판매.

보광산업 기업 프로필 요약
- 대구, 경북 지역에 연고를 두고 골재 채취업 및 레미콘, 아스콘의 생산, 판매업을 주력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 대구경북 지역에서 KS규격 골재를 생산하는 업체는 3개로, 동사의 경우 경북 지역 최대의 골재 생산능력을 갖춘 채석단지를 보유한 바 지역 내 공급주도권을 가짐.
- 경북 군위군의 채석단지 보유한 가운데 2015년 3월 대구지역 레미콘 공장을 인수한 바 골재 채취부터 레미콘 제조까지 수직계열화를 통한 경쟁력 확보.

보광산업 기업 실적 및 평가
- 2023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3% 감소, 영업이익은 23% 증가, 당기순이익은 38% 증가
- 동사의 매출액은 소폭 감소했으나, 주요 건축자재 원자재 가격이 하락하면서 매출원가가 큰 폭으로 감소했고, 이 효과로 영업이익이 20% 넘게 증가함
- 2024년 고금리 상황의 장기화로 부동산 PF 문제 등 자금조달에 어려움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전체적으로 건설 수주가 반등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임.
유진기업 (레미콘 관련주)
유진그룹 계열로 레미콘사업, 시멘트 및 골재 등을 이용한 건자재유통사업, 건설사업 등을 영위.
수도권지역내외에 공장이 소재하고 있음.

유진기업 개요 및 주요 제품 확인
- 1984년 6월 호우물산(주)으로 설립된 후 1989년 8월 유진기업(주)로 상호 변경, 1994년 10월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었음.
- 화물운수업체인 유진로지스틱스, 레미콘 제조업체인 지구레미콘, 현대개발, 방송제작업체인 유진엠, 골프장 운영업체인 유진레저 등을 종속기업으로 보유.
- 국내 레미콘 시장은 유진기업, 삼표산업, 한일시멘트, 쌍용레미콘 등이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상위 2개 업체인 유진기업과 삼표산업의 점유율이 확대되는 추세임.

유진기업 분기 실적
- 2023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7% 증가, 영업이익은 54.3% 증가, 당기순이익은 130.2% 증가
- 2023년 10월 종속기업으로 편입된 유진이엔티는 한전KDN과 한국마사회가 매각하는 YTN 보통주식 1,300만주(30.95%)에 대하여 일반경쟁입찰에 참여함
- 2023년 10월 23일에 낙찰자로 결정되었으며, 11월 10일에 매도자와 3,199억원의 계약 금액으로 본 계약 체결을 완료하였음.
부산산업 (레미콘 관련주)
부산 소재의 레미콘 전문 제조업체.
종속회사인 태명실업을 통해 콘크리트침목ㆍ세그멘트ㆍ시멘트 지대 사업 영위.

부산산업 기업 정보 및 제품 확인
- 1976년 5월 레미콘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설립, 1990년 9월 유가증권 시장에 상장되어 현재까지 사업 영위 중임.
- 연결대상 종속기업으로 (주)태명실업, 티엠트랙시스템(유)을 보유하고 있으며, 관계회사로 (주)오페론아이앤씨를 두고 있음.
- 레미콘 산업은 진입장벽이 낮은 완전경쟁시장으로, 국내 시장은 유진기업과 삼표산업이 공장 증가 등으로 양강체제를 공고히 하며 점유율 확대 추세임.

부산산업 분기 실적과 재무 정보
- 2023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9% 감소, 영업이익은 36% 증가, 당기순이익은 36% 증가
- 외형이 축소되었으나 원가율이 개선됨에 따라 영업이익이 증가하였음
- 부산 지역 주택 건설시장은 고금리 상황 장기화로 부동산 PF 등 자금 조달 어려움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
- 정부의 토목공사는 가덕도 신공항 부지조성 공사 등 대형공사의 수주가 증가해 양호한 모습을 보일 전망.
이 글은 특정 종목을 추천하는 글이 아닌 단순 정보 전달을 위한 글이며, 글에 있는 정보에는 오류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으니 신중히 매매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