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당성향의 의미와 배당성향 확인 방법 | 배당성향 조회 방법

배당성향은 배당금을 당기순이익으로 나눈 것으로 단위는 %로 표시합니다. 즉 배당성향의 의미기업이 1년 동안 벌어들인 순이익 중 주주들에게 배당한 금액이 얼마나 차지하는지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배당성향이 높다면 그 회사는 벌어들인 돈을 주주들에게 많이 환원해주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국내 주식의 배당성향은 2021년말 기준 26.7%이며, 이는 미국(41%), 영국(56.4%), 일본(31.1%) 보다도 낮은 수치입니다.

 

배당성향 확인 방법

국내 주식 종목의 배당성향은 아래 웹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 사이트에서 기업명을 검색하면 최근 4년간의 배당성향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위의 링크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배당성향 확인
배당성향 확인 (출처: seibro.or.kr)

신한지주(055550)의 최근 4년 배당성향을 보면 20% 중반대를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회사는 1년간 벌어들인 순이익의 20% 정도를 주주들에게 지급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배당성향이 높은 것은 좋은 것인가?

그런데 배당성향이 무조건 높은 것이 좋은 것일까요? 이크레더블(092130)의 배당성향은 235.23%이고, 현대중공업지주(267250)의 배당성향은 -296.46%입니다.

배당성향은 당기순이익 중 배당금이 차지하는 비율인데 배당성향이 100%를 넘는다는 것은 단순히 생각해보면 그해 벌어들인 돈보다 더 많이 배당을 했다는 것입니다.

국내 주식의 배당순위
국내 주식의 배당순위 (출처: 네이버 금융)

벌어들인 돈으로 주주들에게 배당을 해주고 남은 돈은 신규 투자를 하는 등 회사의 발전을 위해서 써야 하는데, 배당성향이 100%를 넘어버리면 그럴 돈이 없어지지 않을까요? 그렇다면 회사가 성장하는 측면에서는 도움이 되지 않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런 현상이 지속되어서 다음 해에도 벌어들인 돈보다 더 많이 배당을 해서 높은 시가배당률을 기록할까요 아니면 올 한 해만 일시적인 현상일까요? 후자일 가능성이 높지 않을까요?

이크레더블의 최근 4년 배당성향을 살펴보면 2018년, 2019년, 2020년은 배당성향이 대략 65% 정도인데, 2021년은 235.23%로 갑자기 늘어났습니다. 21년에 13.81%라는 높은 시가배당률을 기록한 것은 바로 이 때문입니다.

배당성향이 235.23%로 21년에 벌어들인 돈의 2배 이상으로 배당을 했기 때문에 이것은 일시적인 현상으로 보입니다.

이크레더블의 최근 4년 배당성향
이크레더블의 최근 4년 배당성향 (출처: seibro.or.kr)

최근 4년의 배당성향을 확인하지 않고 21년도의 높은 시가배당률만 확인하고 이크레더블을 매수한다면 22년은 높은 배당을 받을 확률이 높을까요? 낮을까요? 낮다고 생각됩니다.

다음으로 현대중공업지주의 배당성향은 -296.46%로 마이너스인데 이것은 21년에 손해를 보고도 배당을 했다는 것입니다. 이것도 좋아 보이지는 않네요.

결론은 고배당주를 매수할 때, 전년도의 높은 시가배당률만 보고 매수하면 안 되고 최근 4년 정도의 배당성향을 같이 확인하고 매수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국내 주식 중 고배당주를 확인하는 방법은 아래에 있으니 참고하세요!

   

 

오늘의 인기글을 소개해드립니다.

확인하셔서 수익극대화하세요!

 

현재 글을 공유하기

  • 네이버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