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윌리오(Twilio)는 클라우드 기반의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기업들이 문자, 음성, 영상 등의 서비스를 손쉽게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최근 트윌리오는 인공지능(AI)과 고객 맞춤형 커뮤니케이션 솔루션을 강화하며 주목받고 있으며, 특히 AI 기반 컨택센터 및 자동화 서비스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트윌리오의 기술적 강점과 향후 성장 가능성을 분석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미국 주식 트윌리오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오늘 최고 조회수 주식정보 글입니다.
확인하셔서 수익을 극대화하세요!
트윌리오 기본정보
트윌리오(Twilio)는 기업들이 문자, 음성, 영상, 이메일 등의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도록 API 기반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글로벌 소프트웨어 기업입니다.

항목 | 내용 |
---|---|
기업명 | 트윌리오(Twilio Inc.) |
티커 | TWLO |
상장거래소 | 뉴욕증권거래소(NYSE) |
시가총액 | 약 224억 달러 |
창립자 | 제프 로슨(Jeff Lawson), 에반 쿡(Evan Cooke), 존 울리(John Wolthuis) |
CEO | 제프 로슨(Jeff Lawson) |
설립 연도 | 2008년 |
상장일 | 2016년 6월 23일 |
본사 위치 |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
주요 사업 지역 | 전 세계 |

트윌리오 주요 사업
트윌리오(Twilio)의 주요 비즈니스 모델은 클라우드 기반의 커뮤니케이션 플랫폼(PaaS, Platform as a Service) 제공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기업들이 자체적으로 인프라를 구축할 필요 없이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활용하여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손쉽게 통합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핵심입니다.
커뮤니케이션 API 서비스
개발자 친화적인 API를 제공하여 SMS, 음성 통화, 영상 통화, 이메일, 채팅 기능 등을 애플리케이션과 웹 서비스에 쉽게 통합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 Twilio Programmable Messaging: SMS, MMS, WhatsApp 등의 메시징 서비스 제공
- Twilio Voice: VoIP 및 전화 통화 기능 추가
- Twilio Video: 실시간 화상 통화 기능 제공
- Twilio SendGrid: 대량 이메일 발송 및 관리 서비스
기업용 고객 참여 솔루션
기업이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옴니채널 고객 경험 관리를 위한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 Twilio Flex: 클라우드 기반의 맞춤형 컨택센터(Contact Center) 솔루션
- Twilio Conversations: 고객과의 멀티채널 대화를 통합 관리
- Twilio Segment: 고객 데이터를 분석하여 맞춤형 경험 제공 (CDP, Customer Data Platform)
AI 및 자동화 솔루션 강화
- AI 기반의 고객 서비스 자동화와 챗봇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며 기업들이 더 효율적으로 고객을 응대할 수 있도록 지원
- AI를 활용한 예측 분석(Predictive Analytics) 및 자동화 커뮤니케이션(Automated Messaging) 기능도 발전하고 있음
트윌리오 부문별 매출 구성

트윌리오(Twilio)는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s) 부문과 세그먼트(Segment) 부문이 있습니다.
매출 대부분(93.5%)이 커뮤니케이션 부문에서 발생하며, 세그먼트 부문은 전체 매출의 6.5%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s) 부문: 트윌리오의 핵심 서비스인 메시징, 음성, 영상 및 이메일 서비스를 포함
- 세그먼트(Segment) 부문: 기존 데이터 및 애플리케이션(Data & Applications) 부문으로 불렸던 세그먼트 부문은 고객 데이터 플랫폼과 관련 서비스를 제공
오늘의 인기글을 알려드립니다.
확인하셔서 수익을 극대화하세요!
트윌리오 재무 실적 분석
트윌리오의 최근 5년간 매출액, 영업이익률, 순이익률을 분석하여 알려드리겠습니다.
트윌리오(Twilio)의 최근 5년간 매출액
의 최근 5년간 매출액.webp)
트윌리오는 지난 5년간 매출액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9년 11억 3,400만 달러에서 2023년 41억 5,400만 달러로 약 3.7배 성장하였습니다.
특히 2020년부터 2021년 사이에는 61%의 급격한 매출 증가를 보였으며, 이후로도 두 자릿수의 성장률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추세는 트윌리오의 클라우드 기반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에 대한 수요 증가와 시장 확장의 결과로 해석됩니다.
위 기간 동안의 연평균 성장률(CAGR)은 약 38.5%로 계산되며, 이는 트윌리오가 지난 5년간 매출 측면에서 강력한 성장세를 보였음을 나타냅니다.
트윌리오(Twilio)의 최근 5년간 영업이익률
의 최근 5년간 영업이익률.webp)
트윌리오는 지난 5년간 매출액이 꾸준히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영업이익률은 지속적으로 음의 값을 기록하여 영업 손실이 이어졌습니다.
그러나 2023년에는 영업손실 규모가 감소하여 영업이익률이 -21.1%로 개선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트윌리오(Twilio)의 최근 5년간 순이익률
의 최근 5년간 순이익률.webp)
트윌리오는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순이익률이 -25%에서 -32% 사이로 부정적인 수치를 기록하며 지속적인 순손실을 보였습니다.
그러나 2023년에는 순이익률이 -10.7%로 개선되어 손실 폭이 크게 줄어드는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냈습니다.
트윌리오 재무 지표 분석
트윌리오의 부채비율, 유동비율, 자기자본이익률(ROE), 주당순이익(EPS), 주가수익비율(PER), 기업가치 대비 상각 전 영업이익(EV/EBITDA)을 분석하여 알려드리겠습니다.
트윌리오(Twilio)의 부채비율 및 유동비율
항목 | 비율 |
---|---|
부채비율 | 19.3% |
유동비율 | 664.2% |
- 부채비율 평가: 트윌리오의 부채비율은 19.3%로, 이는 기업의 자본 대비 부채의 비율이 낮음을 나타냅니다.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이 낮을수록 재무 건전성이 높다고 평가됩니다.
- 유동비율 평가: 유동비율이 664.2%로 매우 높아, 단기 부채에 비해 유동자산이 충분함을 보여줍니다. 이는 기업이 단기 채무를 상환하는 데 있어 우수한 유동성을 보유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트윌리오(Twilio)의 자기자본이익률(ROE), 주당순이익(EPS)
의 최근 5년간 자기자본이익률(ROE).webp)
트윌리오의 ROE는 2022년까지 하락세를 보이다가, 2023년과 2024년에 개선되었습니다. 특히, 2024년에는 -5.1%로, 이전 연도들에 비해 손실 폭이 감소하여 수익성이 향상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의 최근 5년간 주당순이익(EPS).webp)
트윌리오는 2020년부터 2022년까지 EPS가 -5.54로 지속적인 적자를 기록하였으나, 2023년에 0.86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하였고, 2024년에는 1.02로 증가세를 이어갔습니다. 이는 회사의 수익성이 최근 2년간 개선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트윌리오(Twilio)의 주가수익비율(PER), 기업가치 대비 상각 전 영업이익(EV/EBITDA)
항목 | 트윌리오(Twilio) | 업종 평균 |
---|---|---|
주가수익비율(PER) | -57.73배 | 23배 |
EV/EBITDA | 177.40배 | 14.28배 |
업종 평균은 소프트웨어 산업을 기준으로 합니다.
- 주가수익비율(PER): PER은 주가를 주당순이익(EPS)으로 나눈 값으로, 기업의 수익성 대비 주가 수준을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트윌리오의 PER은 -57.73으로, 이는 최근 순손실로 인해 음수로 나타나며, 업종 평균인 23배와 비교하여 수익성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합니다.
- EV/EBITDA: EV/EBITDA는 기업가치를 세전영업이익으로 나눈 비율로, 기업의 가치평가와 부채 수준을 고려한 수익성을 나타냅니다. 트윌리오의 EV/EBITDA 비율은 177.40배로 업종 평균인 14.28배에 비해 상당히 높습니다. 이는 기업 가치 대비 수익 창출 능력이 업종 평균보다 낮음을 의미하며, 수익성 개선이 필요함을 보여줍니다.
트윌리오 주요 주주구성
주주명 | 비중 |
---|---|
The Vanguard Group, Inc. | 10.44% |
BlackRock Institutional Trust Company, N.A. | 5.02% |
Fidelity Management & Research Company LLC | 4.82% |
Baillie Gifford & Co. | 3.86% |
Lawson (Jeff) | 3.90% |
트윌리오 주요 뉴스
트윌리오(Twilio)는 최근 투자자 행사에서 향후 3년간 30억 달러의 잉여 현금 흐름을 창출하겠다는 목표를 발표하였으며, 이에 따라 주가가 20% 이상 급등하였습니다.
골드만삭스는 트윌리오의 투자의견을 ‘매수’로 상향 조정하고, 목표주가를 77달러에서 185달러로 대폭 인상하였습니다.
또한, 트윌리오는 OpenAI와 협력하여 대화형 AI 애플리케이션 구축을 위한 실시간 API를 통합하는 등 기술 혁신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결론
트윌리오는 지속적인 매출 성장과 AI 혁신을 통한 서비스 확장을 이어가며 시장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최근 수익성 개선과 투자자 신뢰 회복을 위한 전략적 방향이 긍정적인 신호로 작용하고 있으며, 골드만삭스의 목표주가 상향 조정도 이를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다만, 여전히 영업이익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어 수익성 확보가 핵심 과제로 남아 있으며, 향후 비용 절감 및 효율적인 운영 전략이 트윌리오의 주가 흐름을 결정할 중요한 요소가 될 것입니다.
이 글은 특정 종목을 추천하는 글이 아닌 단순 정보 전달을 위한 글이며, 글에 있는 정보에는 오류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으니 신중히 매매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