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의견의 종류 | 적정의견, 한정의견, 부적정의견, 의견거절

감사의견의 종류에는 적정, 한정, 부적정, 의견거절이 있습니다. 한정, 부적정, 의견거절은 적정이 아니기 때문에 비적정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감사의견이 적정이 아닌 비적정(한정, 부적정, 의견거절)인 경우회계처리기준에 따라서 적정하게 작성된 재무제표가 아니기 때문에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감사의견을 확인하는 방법은 아래의 글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으니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감사의견 적정의견

적정의견은 기업의 재무제표가 회계처리기준에 맞게 적정하게 작성되어 신뢰할 수 있고, 감사범위에 제한을 받지 않고 감사에 필요한 자료를 기업이 감사인에게 충분하게 제공했다는 의미입니다.

감사의견이 적정이라고 해서 회사의 재무 상태가 건전하고 양호하다는 뜻은 아닙니다. 적정의견은 기업이 감사인에게 감사에 필요한 감사증거를 잘 제출하였고, 재무제표가 잘 작성되었다는 뜻일 뿐입니다.

극단적으로 예를 들어 우리 회사가 영업이익이 마이너스이고 망해 가는 회사입니다라고 재무제표에 정확히 표시했고, 이 회사가 돈을 못 벌고 망해가는 증거를 잘 제출하였다면 적정의견을 받습니다.

에이디칩스의 21년 감사보고서의 감사의견
에이디칩스의 21년 감사보고서의 감사의견 (출처: DART)

코스닥기업 에이디칩스의 경우 21년 감사보고서 감사의견으로 적정의견을 받았지만, 감사보고서의 계속기업 관련 중요한 불확실성 부분에서 계속기업으로서의 존속능력에 유의적 의문을 제기할 만한 중요한 불확실성이 존재함을 나타낸다고 하고 있습니다.

에이디칩스의 재무제표를 살펴보면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4년 연속 적자이며, 21년 말 기준으로 자본총계가 351억, 자본금이 399억으로 자본잠식 상태입니다. 망해가는 회사지만 적정의견을 받은 이 회사는 올해 4사업연도 연속 영업손실로 관리종목으로 등록되었습니다.

 

감사의견 한정의견

한정의견은 회계기준 위반(재무제표의 왜곡표시)이 있었지만 해당 사항이 재무제표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거나, 감사범위 제한에 따른 영향이 중요하므로 적정의견을 표명할 수는 없지만 부적정의견을 표명하거나 의견 표명을 거절하여야 할 정도로는 중요하지 않거나 전반적이지 않을 때 표명하는 의견입니다.

즉, 감사 범위가 부분적으로 제한되거나 회계 기준 위반 사항은 있었지만, ‘부적정’이나 ‘의견 거절’까지 갈 수준은 아니라는 뜻입니다.

바른전자의 21년도 감사보고서 감사의견
바른전자의 21년도 감사보고서 감사의견 (출처: DART)

위의 예시는 코스닥 상장기업 바른전자의 21년도 감사보고서 감사의견으로 한정의견을 받았습니다.

한정의견 근거에는 회계기준 위반 또는 감사범위 제한에 대한 근거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감사의견 부적정의견

부적정의견은 중요한 사안에 대해 기업회계 기준을 위배하여 재무제표를 작성한 경우로 회계기준 위반으로 인한 영향이 중요하고 동시에 전반적인 경우나 재무제표 작성의 기초가 되는 계속기업의 가정이 타당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표명하는 의견입니다.

부적정의견은 뭔가 대놓고 재무제표를 왜곡하는 경우인 듯합니다.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AI 감사 같은 것도 나왔다는 뉴스를 봤는데 그래서 그런지 최근에는 부적정의견이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연도별 감사의견 현황
연도별 감사의견 현황 (출처: 금융감독원)

위의 자료를 보면 2014년부터 부적정의견을 받은 기업이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감사의견 의견거절

의견거절은 감사인이 감사보고서를 만드는데 필요한 증거를 얻지 못해 재무제표 전체에 대한 의견 표명이 불가능하거나, 기업의 존립에 의문이 들거나, 감사인의 독립적인 회계 감사가 불가능한 상황에 표명하는 의견입니다.

감사인이 충분하고 적합한 감사증거를 입수할 수 없는 경우에는 무조건 의견거절입니다.

인트로메딕의 21년 감사보고서 감사의견
인트로메딕의 21년 감사보고서 감사의견 (출처: DART)

코스닥 상장기업 인트로메딕의 21년 감사보고서의 감사의견은 의견거절이 표명되어 있습니다.

의견거절의 근거로는 회계처리가 적정하지 못한 것과 특수관계자 거래에 대한 충분하고 적합한 감사증거를 확보하지 못하였다고 감사보고서에 기재되어 있습니다.

아래는 감사의견 적정, 한정, 부적정, 의견거절을 구분하는 표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의견 구분
감사의견 구분

 

마지막으로 정리하자면

감사의견은 회사가 좋은 회사인지 나쁜 회사인지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고, 회사의 재무제표를 신뢰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견입니다. 따라서 감사의견이 적정이라고 해서 무조건 좋은 회사는 아니고 기업이 우량한 기업인지는 적정하게 작성된 재무제표를 보고 투자자들이 판단하여야 합니다.

감사의견이 비적정(한정, 부적정, 의견거절)이면 추후에 감사의견이 수정된 감사보고서가 제출되지 않으면 상장폐지까지 갈 수도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합니다.

 

오늘의 인기글을 소개해드립니다.

확인하셔서 수익극대화하세요!

 

현재 글을 공유하기

  • 네이버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